학술논문
대학생의 긍정·부정정서,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과 정서적 섭식행동의 관계
이용수 336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negative emotion, emotion-focused coping style and emotional eating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이상희(Lee, Sang-Hee)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15권 1호, 61~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도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긍정, 부정 정서와 정서적 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정서 중심 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38명(남학생 247 명, 여학생 191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긍정· 부정 정서, 정서적 대처 방식과 정서적 섭 식행동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의 데이터는 SPSS 23.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가자는 지각하는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의 강도 조합에 따라 4개의 정서 유형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4개의 정서 유형 집단에 따라 정서적 섭식행동과 정 서 중심적 대처방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서적 대처 방식과 정서적 섭식행 동 모두에서 부정 정서가 높은 집단이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긍정 정서와 긍정 정서적 섭식 행동의 관계에서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부정정서와 부정 정서적 섭식 행동의 관계에서도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긍정 정서 와 부정 정서가 동일한 영향력을 갖는 것이 아니라 정서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섭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래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정서를 선택하여 이들이 섭식에 미치 는 영향력과 특성들에 대해 발전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focused coping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negative emotion and emotional eating behavior. A total of 438 university students(male 247, female 191)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The survey included positive·negative emotion, emotion-focused coping style, and emotional eating behavior.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3.0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emotional types by positive·negative emotion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eating behavior and emotion-focused coping style by emotional types. High negative emotion types had higher scores in emotion-focused coping style and emotional eating behavior. Third, emotion-focused coping style had som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 and positive emotional-eating behavior, and also emotion-focused coping style had som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al-eating behavior. Finally, we concluded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had different effects on eating behavior, so more advanced research using various emotion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밥그릇 용량의 시대별 변천과정 연구
- 대학생의 긍정·부정정서,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과 정서적 섭식행동의 관계
- 우유에 대한 부정적 보도와 소비자의 건강신념, 신뢰도, 구매의도 간의 관계
- 근대전환기 경운궁·창덕궁의 서양 식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외식산업 서비스품질 측정모델(OOSCAPE) 연구
-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 consumer experience event on brand perception, attitudinal brand loyalty, and purchasing behavior: A winemaker dinner applica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