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유에 대한 부정적 보도와 소비자의 건강신념, 신뢰도, 구매의도 간의 관계
이용수 607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reporting on milk and consumers’ health beliefs, reliability and willingness to buy - Focusing on Health Belief Model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김진서(Kim, Jin-Seo) 신형철(Shin, Hyoung-Chul)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15권 1호, 37~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유에 대한 부정적 보도, 건강 신념, 신뢰도와 구매 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이 를 바탕으로 우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완화할 수 있는 개선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 우유에 대한 부정적 보도를 접한 경험이 있는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남녀에게 무작위 설문지 370여 장을 배포하였다. 가설에 대한 검증은 336개의 유효설문지를 바탕으로 시행하였 고 SPSS 18.0 회귀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가설 1에서 부정적 보도는 건강신념에 하위 변수 중 지각 된 유익성과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민감성과 장애성에 긍정적인 (+) 영향 을 미쳤다. 가설 2에서 지각된 유익성과 자기효능감은 신뢰도에 긍정적인 (+)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민 감성과 장애성은 부정적인 (-) 영향을 미쳤다. 가설 3에서 지각된 민감성과 자기효능감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민감성과 장애성은 부정적인 (-)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 를 토대로 하여 우유 산업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rovements that can mitigate the negative perception of milk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negative reporting on milk, health beliefs, reliability and willingness to purchase it. A total of 370 rando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residents in Seoul and parts of Gyeonggi Province who are male and female consumers who experienced negative reports or information about milk.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was conducted by a 18.0 return analysis of SPSS by retrieving 336 valid questionnaires. In hypothesis 1, negative reporting had a negative (+) impact on perceived benefits and self-efficiency among health-based sub-variates, and a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sensitivity and disability. The benefits and self-efficiency perceived in hypothesis 2 had a positive (+) impact on reliability, and perceived sensitivity and disability had a negative (-) effect. The perceived benefits and self-efficiency in hypothesis 3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and perceived sensitivity and disability had a negative (-) effect. Through these findings, the study presen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ould help improve the crisis in the milk industr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밥그릇 용량의 시대별 변천과정 연구
- 대학생의 긍정·부정정서,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과 정서적 섭식행동의 관계
- 우유에 대한 부정적 보도와 소비자의 건강신념, 신뢰도, 구매의도 간의 관계
- 근대전환기 경운궁·창덕궁의 서양 식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외식산업 서비스품질 측정모델(OOSCAPE) 연구
-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 consumer experience event on brand perception, attitudinal brand loyalty, and purchasing behavior: A winemaker dinner applica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