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난임 여성의 사회적 압박감과 비합리적 부모신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36
- 영문명
- The Effect of social pressure on pregnancy and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on depression in infertile wome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강은영(Kang, Eun-Young)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32집 1호, 1~3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 여성이 경험하는 출산에 대한 사회적 압박감과 비합리적 부모신념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결혼만족도가 비합리적 부모신념을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난임 여성 267명을 대상으로 비합리적 부모신념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 우울척도와 출산에 대한 사회적 압박감에 대한 질문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SPSS 24와 SPSS Macro PROCESS 2.16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압박감, 비합리적 부모신념, 결혼만족도, 우울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사회적 압박감이 비합리적 부모신념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결혼만족도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셋째, 결혼만족도의 수준에 따른 간접조절효과의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난임 여성의 우울에 대한 시사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sure and depression in infertile women. The questionnaires was administered to 267 infertile women who were diagnosed with the condition, using the questionnaire for social pressure, Questionnaire for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QIPC), Marital Satisfaction Scale(MS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 24 and SPSS Macro PROCESS 2.16. First, social pressure,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as a result of moderated mediation effects,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sure and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and depression. Thir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moderated effect according to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as verified.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