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맞벌이 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615
- 영문명
- Working women’s life satisfaction,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work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이진우(Lee, Jinwoo) 금현섭(Kum, Hyunsub)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32집 1호, 34~69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부부의 성 역할 인식에서의 불일치와 맞벌이 여성의 실제 가사노동부담의 불일치가 맞벌이 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가사노동부담의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기 위해 가사노동부담을 가용시간 대비가사노동시간의 비중으로 측정하였으며, 성 역할 인식에 따라 가사분담에 대한 부부의 기대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성 역할 인식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2014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부부의 성 역할 인식을 전통적, 갈등적, 평등적인 유형으로 구분하고 가사노동시간 비중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가사부담비중의 증가는 여성의 삶의 만족도를 낮추고 있었고, 특히 부부의 성 역할 인식이 전통적 유형의 경우에 비해 갈등적 유형과 평등적 유형에서 더욱 낮추고 있었으며, 이러한 차별화는 대체로 가사노동시간 비중이 가용시간의 20%를 넘어가는 지점이었다. 따라서 맞벌이 여성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한 정책적 고려에서 가사분담의 문제는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analyzing the unequal division of housework in explaining the women’s life satisfaction, yet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incongruent situations that surround women. We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two incongruent dimensions will decrease working women’s life satisfaction. The one is the incongruence on gender role attitude between wife and husband, the other is the incongruence on the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and the actual share of housework. For this, we employ types of the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types and a relative measure of housework. By using the 2014 Korean Time Use Survey,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the actual share of housework and working women’s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flict gender role attitude between partners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women’s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women in the egalitarian type are related to lowering life satisfaction due to the discrepancy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their share burden reality. In particular, women in the conflict and egalitarian type of couples’ gender role significantly decrease their satisfaction level when they have over 20% housework. We discuss the contributions of women’s life satisfaction literature and policy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자료 및 분석모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