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가족관계 증진 단기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335
- 영문명
- Development of Brief Program for North Korean Refugees’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조은숙(Eunsuk Cho) 김민경(Minkyeong Kim) 김소영(Soyoung Kim) 권혜영(Hyeyoung Kwon)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32집 1호, 70~101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단기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가족관계 실태와 문제점, 개입프로그램 등에 대한 선행연구와 현장전문가들에 대한 면접결과를 기초로 대상의 다양성 고려, 내담자의 현실에 맞춘 단기프로그램, 현장 전문가가 실시할 수 있는 난이도, 대상자의 강점 및 역량강화에 초점 두기 등의 프로그램 구성 원리를 정하였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가족체계론과 강점 관점에 더하여 해결중심치료 및 이야기치료 이론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관계 증진 프로그램과 상담자 매뉴얼 초안을 개발한 후 피드백 수렴을 통한 수정과정을 거쳤다. 수정프로그램으로 상담실무자 45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실시하고 이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평가에 참여한 실무자들은 프로그램의 현장적용가능성 및 단기적 효과에 대해 높이 평가하였으나, 북한이탈주민을 프로그램으로 끌어들이는 전략에 있어서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for improving family relationship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To this end, researchers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the problems of their family life, intervention programs, and the voices of field exper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principles of the program were set up, including consideration of the diversity of the subjects, short-term programs tailored to the client’s life style, easy-to-learn level for the field experts to deliver, and focus on the strengths and capacity building of the subjects. This principles fit well with the philosophy and strategies of the post-modern family therapy models. Therefore, this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theory of solution-focused therapy and narrative therapy. After developing a initial program (for couple relations and parent-child relations, each) and counselor manuals, they went through a revision process by collecting feedback from three North Korean refugees and field experts. Then, 44 counselors serving North Korean refugees were trained with the revised program. Afterwards,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the counselors.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by supplement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counselors’ feedback. Participant counselors appreciated the program’s applicability and short-term possible effects, but pointed the need for strategy of bringing North Korean refugees into the program. The effectiveness study of the program is need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