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based on ‘Science writing heuristic’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주민재(Joo, minjae)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8권 제2호, 219~269쪽, 전체 5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8,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조별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을 개발, 대학의 과학 글쓰기 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 및 비판적·논리적 사고력 증진과 전공과목에서 요구되는 쓰기능력의 향상을 시도했다. 조별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은 연구계획서/연구보고서 작성 방법 강의 및 아이디어 생성, 개인 연구계획서 작성 및 발표, 조별 연구계획서 작성 및 발표, 시각 자료의 활용 방법 강의, 조별 연구보고서중간 발표, 조별 연구보고서 최종 발표의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공계 열 1학년 학생 39명으로 하여금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조별 연구보고서 쓰기’는 6단계 총 10주간에 걸쳐 수행하도록 한 결과, 연구계획서/연구보고서 및 1,2차 인터뷰 분석을 통해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조별 연구보고서 쓰기’는 각 단계별로 동료/교수자와의 논의와 조별 활동에서 발생하는 가시적/비가시적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은 스스로 연구 주제 및 연구 가설의 설정, 연구 방법의 정교화 그리고 연구 결과를 해석하는 능력이 향상되고 이를 연구계획서와 연구보고서 쓰기에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연구계획서/연구보고서 쓰기의 단계를 거치면서 비판적·논리적 사고 능력 및 과학적 사고 능력 그리고 의사소통능력 및 전공과목에서 요구되는 쓰기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근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ttempt to improve in scientific think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writing ability of college freshman for science major course through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based on Science writing heuristic.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established writing research paper program can’t improve writing ability, scientific or logical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what are improving methods. This study gave attention to Science Writing Heuristic(SWH) that students are able to play a leading role in research. Data source were from 39 college fresh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participated in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based on Science writing heuristic for 10 weeks. Questionnaires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rom participants’ responses, their research papers and observation of discussion with peer/teacher.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1) actual improvement of research paper writing ability by apply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based on Science writing heuristic, 2) improvement scientific,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presentation and feedback as peer/teacher reviews and 3) possibility that group research paper writing can contribute to writing ability for studying science major course.
목차
Ⅰ. 서론
Ⅱ. 과학 글쓰기 교육의 지향점과 현실적 여건의 관계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의사소통 역량평가 개발
- 교육연극을 활용한 협동적 쓰기 방안 연구
- 교양수업에서 ‘자기 서사적 글쓰기’가 대학생의 신뢰성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인성교육과 나를 일깨우는 과학, 과학을 통한 시간성의 체험
- 교양교육 강좌성격에 따른 융복합교육을 위한 수업지원체제 모형의 탐색
- 교양교육에서의 타인의 고통에 대한 감수성 교육의 중요성
- 액션러닝기반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프로그램 개발
-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 부버의 인간이해 방식과 교양교육
-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및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