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ans of human understanding on M.Buber and Gene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희(Kim, Seong Hee)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8권 제2호, 161~18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 필자는 교양교육을 실천하는 데 있어,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이러한 관계에 대한 철학적 인간학적 이해가 바탕이 될 때, 교양교육이 목표로 하는 전인교육, 성격교육 그리고 평생교육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러한 교양교육의 목표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인간에 대한 이해를 우선으로 해야 한다. 특히 부버의 철학관에 비추어 인간이 근본적으로 나와 너 그리고 나와 그것을 통해 겪게 되는 사이와 간격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이는 학습자와 교수자에게도 있는 본래적인 요소에 해당한다. 이러한 본래적인 간극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돕는 것이 교양교육의 역할이라고 본다. 이를 위해 첫째,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의 만남의 중요성과 이러한 만남이 진정성을 갖기 위해서는 교수자가 먼저 학습자에 대한 관심을 갖는 자세가 중요하다. 이러한 관심은 잡담을 통해 만남의 분위기를 강화시킬 수 있다. 둘째, 교수자는 학습자가 교양교육에 관심을 갖도록 호기심을 활용하는 것이다. 학습자와 교수자가 대화로 몰입하기 위해서는 주변과 교과목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하는 호기심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양교육의 학습목표에 해당하는 일상과의 소통에 주목한 교양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부버가 근본어(the primary words)로 본 나와 너 그리고 나와 그것의 간극의 문제는 학습자와 교수자 뿐만 아니라 나와 세상 그리고 일상에 어떤 상황에서도 체험하고 경험하게 되는 사이(between)의 문제이기 때문에, 교양교육은 이와 같은 일상의 본래성에 대해 학습자가 준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는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교양교육에 있어서 더더욱 인간에 대한 이해 방식이 중요함을 부버의 철학의 통해 살펴보는 시도는 했다.
영문 초록
On this paper, In this paper, I will propose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in relation of the student-teacher on philosophy of Martin Buber. According to Buber, the meaning of human is the one primary word is the combination I-Thou, the other primary word is the combination I-it. So there is the primary word between . The between is between student and teacher, also student and the world. How can we reduce the interval? How can we understand others? I think Buber can help the problem. He propose meeting, dialogue, and communication. Firstly, student yourself should try to be conscious of the fact who I am . But it is so difficult for student. To real meeting, I think teacher try to have a chat with a student. In order to chatting, teacher has to be interest in student. Secondly, teacher answers and reaction served to gratify student s curiosity the course. Curiosity is a tube that enters Dialogue. Finally, on the aim of general education is well-rounded education , so philosophy of Buber can help to use a communication in their daily lif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부버의 철학
Ⅲ. 부버의 교양개념
Ⅳ.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의사소통 역량평가 개발
- 교육연극을 활용한 협동적 쓰기 방안 연구
- 교양수업에서 ‘자기 서사적 글쓰기’가 대학생의 신뢰성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인성교육과 나를 일깨우는 과학, 과학을 통한 시간성의 체험
- 교양교육 강좌성격에 따른 융복합교육을 위한 수업지원체제 모형의 탐색
- 교양교육에서의 타인의 고통에 대한 감수성 교육의 중요성
- 액션러닝기반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프로그램 개발
-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 부버의 인간이해 방식과 교양교육
-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및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