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ooperative writing method using theatre i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미(Lee, Eun-mi)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8권 제2호, 187~21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협동작문의 과정 안에서 초고쓰기 단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교육연극의 요소를 활용한 협동적 쓰기 방안을 제안하여, ‘생각 꺼내기’와 ‘생각 묶기’의 과정 속에서 필자의 아이디어를 극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업을 위해서 먼저 이 논문에서 활용하게 될 교육연극과 협동적 쓰기의 개념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고, 2011 국어과 공통 교육과정 쓰기 영역을 근간으로 하여 교육연극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생각 꺼내기’와 ‘생각 묶기’의 단계에서 다양한 교육연극의 요소를 활용하여 협동적 쓰기의 활동 방안을 보이고자 한다. 이때 그 학습 대상이 되는 쓰기의 장르는 교육과정 안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학적 글쓰기와 실용적 쓰기 일반에서 융통성 있게 적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2011 국어과 공통 교육과정 내의 내용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연극놀이를 통한 비언어적 표현하기, 협동 마인드맵을 활용한 지시문 쓰기, 즉흥극을 통한 내용 이해하기의 세 가지 영역에서 교육연극을 활용한 협동적 쓰기의 양상을 보이고자 한다. 이 작업을 통하여 교육과정의 내용 성취기준 중 교육연극적 요소를 활용하여 ‘생각 꺼내기’와 ‘생각 묶기’ 단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협동적 쓰기 학습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국어교육에서 협동적 쓰기 학습을 통한 교육연극의 활용이 열린 학습의 현장에서 자발적이고 창의적으로 쓰기의 주제에 몰입할 수 있는 질적 향상을 전망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maximizing ideas of writer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ideas’ and ‘binding ideas’, through suggesting cooperative writing method using elements of theatre in education to revitalize the step of draft writing on the process of cooperative writing. For this work, at first need to simply arrange about concept of cooperative writing used in this paper and to investigate possibility of using theatre in education based on the 2011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 part of writing. Especially on the step of ‘taking out ideas’ and ‘binding ideas’ intended to appear cooperative writing method by using various elements of theatre in education. At this time, the genre of writing that is used for learning object can be flexibly applied in the literary writing and practical writing that are used in the curriculum. In this paper, specially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 of the 2011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tended to show aspects of cooperative writing in three areas - non-verbal expression through the play of act, writing instructions using cooperative mind-mapping, understanding contents through unscripted act - Through this work It can be suggested that concrete and creative cooperative writing method that can revitalize the step of ‘taking out ideas’ and ‘binding ideas’ using elements of theatre in education on achievement standard in the curriculum. Finally using cooperative writing metho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theatre in education would be prospect qualitative improvement that can be immersed in subject of writing spontaneously and creatively on learning place opened.
목차
Ⅰ. 서론
Ⅱ. 교육연극과 협동적 쓰기의 특성
Ⅲ. 2011 국어과 공통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육연극과 협동 학습
Ⅳ. 교육연극을 활용한 협동적 쓰기 방안
Ⅴ. 협동적 쓰기 활동에서 교육연극의 활용과 전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의사소통 역량평가 개발
- 교육연극을 활용한 협동적 쓰기 방안 연구
- 교양수업에서 ‘자기 서사적 글쓰기’가 대학생의 신뢰성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인성교육과 나를 일깨우는 과학, 과학을 통한 시간성의 체험
- 교양교육 강좌성격에 따른 융복합교육을 위한 수업지원체제 모형의 탐색
- 교양교육에서의 타인의 고통에 대한 감수성 교육의 중요성
- 액션러닝기반 대학생 자기관리역량 프로그램 개발
-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 부버의 인간이해 방식과 교양교육
-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내 환경·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및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표면행위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미·중, 산업기술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