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宋代 茶書에 나타난 白茶 考察

이용수  89

영문명
A Study on White Tea in the books Sung Dynasty period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이진미(Lee, Jin-mee)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47집, 51~7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송대의 차문화는 중국 역사상 절정이었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차산업이 융성 발전했다. 송대에는 왕실이 음다문화를 주도하면서 차의 대중화가 급속도로 진전되었다. 이 시기 차문화는 황제로부터 관료, 선승, 도가, 선비에 이르기까지 널리 詩文과 합해져서, 조화로운 아취와 심오한 정신세계로 확대되었다. 특히 송대 다서의 대부분의 내용에는 공차에 대한 기록으로 차의 재배 및 제다과정과 공차의 종류 등에 대해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宋代茶書에 나타난 白茶의 내용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자생하는 차나무의 일종으로 야생백차의 어린싹(牙)으로 제조했다. 둘째, 백차는 황제에게 진상된 공차의 한 종류로 최고급 차였다. 셋째, 백차는 단차 제다법으로 만들어졌다. 이상과 같이, 백차의 생산과 분류는 중국 고유의 것으로, 송대의 백차는 일종의 독특한 특징을 가진 일반적인 찻잎과는 다르다. 현재의 백차를 만드는 과정은 청의 가경(嘉慶)초년(1760)에 어린 싹인 은침(銀針)으로 제조하고, 1855년 복정대백차(福鼎大白茶)에서 백호은침을 제다하면서 정착되었다.

영문 초록

The tea industry has developed so much that the tea culture of the Sung Dynasty was at its peak in Chinese history. In Sung Dynasty, the popularization of tea progressed rapidly as the royal family led the tea culture. During this period, tea s culture was widely combined with the writings from emperors to bureaucrats, a taoist, and scholars, and expanded into a harmonious and profound spiritual world. In particular, most of the contents of the tea books of the Sung Dynasty are recorded in detail about the process of growing and making tea and the type of gongcha. The text of the white tea appeared in the Sung Dynasty tea books is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it is a kind of native tea tree, made of young shoots of wild white tea. Second, white tea was a kind of gongcha presented to the emperor and was the finest tea. Third, white tea was made in a round shape. As above, The production and classification of white tea is unique to China, and the white tea of Sung Dynasty is different from ordinary tea leaves with a kind of unique feature. The current process of making white tea is made from silver needles, which sprout in the early years of the Qing Dynasty (1760), and Baekho was settled in 1855 in Bokjeong Daebaek Tea.

목차

Ⅰ. 序論
Ⅱ. 宋代茶書의 白茶考察
Ⅲ. 中國白茶의 種類와 製茶法
IV.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미(Lee, Jin-mee). (2020).宋代 茶書에 나타난 白茶 考察. 차문화산업학, 47 , 51-72

MLA

이진미(Lee, Jin-mee). "宋代 茶書에 나타난 白茶 考察." 차문화산업학, 47.(2020): 5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