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구구조 변화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298

영문명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Demographic Changes to Housing Prices: Focusing on Seoul and Six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부동산연구원
저자명
박헌수(Park, Heon Soo) 김민정(Kim, Min Joung)
간행물 정보
『부동산연구』제24권 제2호, 23~32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서울특별시와 6대 광역시를 대상으로 2003년부터 2012년 기간 동안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고령인구 급증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등 인구구조 변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택가격 변화에 미치는 요인은 인구변화 요인과 소득과 관련된 경제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나 주택공급 요인은 유의하지 않았다. 고령인구 비율이 1% 증가할 경우 주택 가격은 0.12%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장래 인구변화를 고려하여 주택시장은 수요자 위주의 중심으로 주택공급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은퇴하는 인구를 지역 내 정착을 유도하는 도시 계획적 관리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We analysed the impact of demographic changes, such as the sharp increase of aged population and the sooner retirement of baby boomers to housing market, by using panel data of Seoul and six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from 2003 to 2012. We used several variables related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housing supply changes we found that some of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housing price changes, but all of the housing supply variabl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e important result is that the 1% increase of old dependency rate is associated with a decline of 0.12% in house prices. Anticipating the consequences of an aging baby boom generation should prepare planners to manage the supply of new construction to meet future housing needs and help the ageing baby boomers to stay in the c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이론적 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헌수(Park, Heon Soo),김민정(Kim, Min Joung). (2014).인구구조 변화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부동산연구, 24 (2), 23-32

MLA

박헌수(Park, Heon Soo),김민정(Kim, Min Joung). "인구구조 변화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부동산연구, 24.2(2014): 23-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