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건강행태와 고카페인 음료 섭취에 관한 연구
이용수 834
- 영문명
- A Study on Health Behavior and High-Caffeine Drink Intake of Adolescent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은주(Eun Ju Park) 유난숙(Nan Sook Yu)
- 간행물 정보
- 『生活科學硏究』生活科學硏究 第29輯, 27~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evance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the intake of high-caffeine drinks of adolescents based on the data of the T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4.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11.9% of the total research subjects drank high-caffeine drinks; 74.2% drank carbonated drinks; and 82.5% drank sweet drinks, indicating that the subjects drank carbonated drinks and highly sweet drinks. Second, in terms of th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ale students drank more high-caffeine drinks, especially with low academic scores and good financial status. Third,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intake of high-caffeine drinks depending on the body weight perception, stress level perception, and the adequacy of sleeping hours, it was revealed that when the subjects were stressed out more and they thought their sleeping hours were inadequate, the intake of high-caffeine drinks was more.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it is required to provide the education to encourage the intake of healthy drinks and improve the ability to choose healthy food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ustomer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in Mobile Advertising
- 유아동 한복 치수체계에 관한 연구
- 중국 하얼빈시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여성 의복색 변화 분석
- Influencer Marketing: College Students’ Attitudes on Social Media
- 청소년의 건강행태와 고카페인 음료 섭취에 관한 연구
- 요양보호사의 영양지식과 영양태도
- 세계의 주요 종교들에서 사용되는 물의 철학적, 문화적 및 의약적 의미
- 칠교놀이 프로그램이 경중인지장애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