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동 한복 치수체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77
- 영문명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izing System for Children s Hanbok Size - Based on aged 0 to 12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최진(Jin Choi) 도월희(Wol-Hee Do) 김은정(Eun-Jeong Kim)
- 간행물 정보
- 『生活科學硏究』生活科學硏究 第29輯, 89~10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Hanbok is a popular children design and pattern of development, the mass production system via the Internet with market is active. Children s hanbok is also being released in a quirky fashion, but it is also not easy to purchase sizes that fit the shape of children s consumers as well as various designs.
First of all, the KS standards and measurement specifications of domestic children s hanbok companies were reviewed, and the measurement data of a total of 5856 boys and girls aged 0 to 12 of the Size Korea were analyzed, and the measurement system of children s hanbok was presented.
It is a basic item for setting the size of children s hanbok products and consumers product selection among the nominal and physical dimensions specified in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The nominal and basic body dimensions are specified in key and 5cm deviation is shown. In addition, the designation and physical dimensions of a child s clothing are not given separately by class of clothing, such as children s clothing and adult clothing. Although all brands are classified and sold for boys and girls, it can be seen that the name tag is used to indicate the age of men and women, the scope of the name and reference body dimensions is not uniform, and is different from the naming method based on the height presented in the KS(2009).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of direct measurement data of a total of 5856 boys and girls aged 0 to 12 years old, both boys and girls were selected as the basic dimensions according to the KS standard s nomenclature criteria because the correlation between height, weight, width and circumference items is high. By applying the same key designation as KS children s clothing specifications, reference body dimensions are selected for easy and accurate weight selection by consumers who purchase hanbok.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ustomer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in Mobile Advertising
- 유아동 한복 치수체계에 관한 연구
- 중국 하얼빈시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여성 의복색 변화 분석
- Influencer Marketing: College Students’ Attitudes on Social Media
- 청소년의 건강행태와 고카페인 음료 섭취에 관한 연구
- 요양보호사의 영양지식과 영양태도
- 세계의 주요 종교들에서 사용되는 물의 철학적, 문화적 및 의약적 의미
- 칠교놀이 프로그램이 경중인지장애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