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놀이기반 배움의 방향에 관한 탐색

이용수  4,375

영문명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Play-based Education: Beyond Representation Toward Event
발행기관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저자명
유혜령(Yeu, Haeryung)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9권 제2호, 59~8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최근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의 혁신과 함께 부각되고 있는 놀이중심 교육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하고 그 구체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유아보육 및 교육에서 전통적으로 강조되어온 놀이중심 교육이 이론적ㆍ실천적으로 어떠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는지 살펴보고, 개정된 누리과정이 지향하는 바 놀이중심 교육의 원리가 유아 놀이의 유동성과 생성력을 어떠한 차원에서 격려하고 열어가야 할 것인지 궁구하였다. 그 결과, 종래 놀이중심 교육의 원리가 일과 놀이의 이분법적 구도 및 상호모순 된 현장 적용의 원리 하에 운영되었으며, 구조주의적인 분류법 사상과 대응관계적 진리 개념을 기초로 한 표상적 사유의 한계를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직된 구조주의적 교육관의 논리와 언어를 넘어 수업 현장의 복잡성과 역동적인 사건성에 충실한 새로운 논리와 언어로 놀이와 배움을 말할 것을 제안한다. 즉, 운동적이고 생기하는 놀이 경험 내부의 현상적 차원을 중심으로 논의를 활성화할 것을 강조하면서, 놀이를 통한 배움이란 어떠한 현상인가, 유아가 현장의 인적ㆍ물적 요소들과 감응하며 전개해나가는 놀이의 흐름은 과연 어떠한 성격의 활동인가, 또한 유아는 이러한 놀이를 통해 어떠한 주체 경험을 하게 되는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oke a full-scale discussion on the principle of play-based education at the time of the national reformat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is is to explore the concrete direction for more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play-based principle in the field along with the poststructuralist sprit of the time. First, it is attempted in the study to discuss what have been problematic in the traditional play-based education in its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levels. Next, it is explored at what levels and in what dimensions we need to open and encourage the vitality and the becoming power of children’s play, maximizing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intended by the play-based principle of the newly revised Nuri-curriculum. As a result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raditional play-based principle has been implemented in educational settings under the condition of the confused dualism of work versus play and the inter-contradicto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its application. This reveals the hidden admiration of structuralist orderings of the world, i.e., hierarchic classifications of play forms and types within the limits of representational thinking based on corresponding theory of truth. It is suggested that we do need to speak of children’s play with new logic and languages more faithful to the genuine complexity and dynamic event-nature of children’s activity and play. This calls for the paradigmatic shift from the structuralist point of view to the poststructuralist on human beings and the world. Conclusions are made that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and active discussion be made on the very dimension of phenomenality of inner reality of children’s play experience. More specifically, findings of this study center around three main questions: what kinds of phenomena children’s learning in play is, what natures the play activity includes when children affect each other with both humane and inhumane(material) things during play, and in what ways the transformations of children’s being would be made into new ontology as active agents of their own creation of play reality.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유아교육과정에서 놀이 및 배움의 관계
Ⅲ. 새로운 언어와 논리로 놀이와 배움을 말하기: 표상을 넘어 사건으로
Ⅳ.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혜령(Yeu, Haeryung). (2019).놀이기반 배움의 방향에 관한 탐색. 영유아교육과정연구, 9 (2), 59-84

MLA

유혜령(Yeu, Haeryung). "놀이기반 배움의 방향에 관한 탐색." 영유아교육과정연구, 9.2(2019): 59-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