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이용수 8,364
-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es towardActualizing the 「2019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 저자명
- 이경화(Lee, Kyeonghwa)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9권 제2호, 7~3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을 해석하고, 개정 누리과정을 성격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교사의 역량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개정 누리과정이 추구하는 ‘유아중심’을 ‘유아의 교육과정’과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의 의미로 풀이하였으며, ‘놀이중심’은 ‘놀이기반 교육과정’과 ‘놀이를 통한 배움’이라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교육공동체의 교육과정 참여’와 ‘자율적 교육과정 실천’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해석에 기초하여 연구자는 개정 누리과정 실천을 위해 교사의 비판적 사유와 윤리적 실천 역량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교사는 교육과정의 권리와 힘에 대해 그리고 배움∼가르침의 관계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귀 기울이기와 회절하기의 윤리적 행위를 통해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 자율성을 실천해야 함을 제시하면서, 교사교육의 현실에 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essay was to interpret the latent meanings of the 「2019 Nuri Curriculum」 and to explore the teacher s competences for the curricular praxis. The researcher understood meanings of the child-centered’ as curriculum of young children and the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nd play-centered as playful learning and play-based curriculum , and the autonomy of curriculum as curriculum with communal involvement and becoming the curriculum . Accordingly, it was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have competencies for critical awareness and ethical act. Furthermore, it was explained that teachers constantly should put the questions about the rights and powers in the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and teaching, and actualize the child-centered, the play-centered, and the curriculum autonomy through listening and diffrac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 자율성의 의미
Ⅲ.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