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예 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이용수 261
- 영문명
- Study on Development of calligrphy education contents - Focused on the case of 《Mabeop Cheonjamun》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송수현(Song, Soo-hyoun)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5호, 281~30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한민국은 전통문화 및 문화예술의 부흥·발전을 도모하고 세계적인 소프트 파워 강국으로 뻗어 나가기 위해 정부 차원의 노력을 해오고 있다. 1972년 <문화예술진흥법> 제정은 문화예술 관련 법제 마련의 시작이었고, 2019년 총 62개의 문화예술 관련 법률에 이르렀다. 이러한 법제 중 2018년 12월에 <서예진흥법>이 제정되었고, 일반에 다가가기 어렵게 느껴지는 서예에 대한 인식은 ‘서예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을 통해 극복되어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서예교육 콘텐츠 개발 성공사례는 아직 유례가 없음에, 2006년 개정된 후 다양한 분야의 문화산업전문회사의 원동력이 된 <문화산업진흥 기본법>이 탄생시킨『마법천자문』의 성공사례로부터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申公濟의『海東名迹』등을 예외로 하고, 주로 중국의 법첩이 서예 교육 콘텐츠로 사용되었으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는 옥동 이서의『筆訣』, 원교 이광사의『書訣』과 창암 이삼만의『書論』및『華東書法』등이 민족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서예 교육 콘텐츠로 개발되어 朝鮮風 서체라는 이름의 ‘東國眞體’가 출판 매체를 통해 유통되었다. 조선은 ‘서당’에서『千字文』·『類合』과『小學』을 비롯해『童蒙先習』·『明心寶鑑』·『通鑑』등을 한자 교육 콘텐츠로 사용하였다. 정약용이 한국 고유의 정서가 담긴『兒學篇』을 개발했고, 尹喜求의『千字東史』와 嚴受東의『朝鮮歷史千字文』, 金均의『大東千字文』등의 한국적인 천자문류가 지속적으로 발간되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 속에서 지식인들의 고뇌는『마법천자문』이란 자본주의와 문자영상 시대에 걸맞은 성공적인 한자 교재로 이어졌다.
2019년 1월 출시된『마법천자문 시리즈』개정판과 제45권은 증강현실(AR)을 이용한 체험형 콘텐츠 학습만화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서예 교육 콘텐츠 개발은 현대에 맞게 진화된『마법천자문』의 플랫폼을 표본으로 정련된 서예 교육 교재와 더불어 VR을 이용해 붓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할 것을 제안한다.
이미 일본에서 개발 시도되고 있는 몇 개의 Augmented Calligraphy System 등을 보면 IT 공학 기반의 서예 콘텐츠 개발은 자칫 서예가들이 소외될 것으로 생각되지만, 더나은 서예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IT 공학, 인지공학과 서예 및 여러 분야가 공조해야 할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영문 초록
Not only Korea has been promoting the revival and progress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 but also working hard to enrich the country with the world s soft power at the government level. Since the establishment of started the legal system relevant to culture and art in 1972, the total number of law on culture and art reached 62 units in 2019. Among these legislations, was enacted on December 2018, and the awareness of calligraphy, to which seems complicated for the general public to approach, could be overcome by developing and distributing calligraphy education programs. However, there has not been one case of the success of contents development on calligraphy education yet, and it could be drawn from the success case of the 《Mabeop Cheonjamun [the Magic Thousand-Character Text]》. 《Mabeop Cheonjamun》was produced by one of the culture industry companies, which gave birth to and became the driving force of cultural industry in various fields after revised in 2006.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서예 및 한자 교육 콘텐츠의 역사
Ⅲ.『마법천자문』의 사례 분석
Ⅳ. 서예 교육 콘텐츠 개발방안 제안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