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학교과에서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 유형 분석

이용수  312

영문명
Analysis of Teachers’ Teaching Method Type Perceived by Student in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 Level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저자명
유신복(Yu, Sinbok) 김혜숙(Kim, Hye-Sook)
간행물 정보
『미래교육학연구』미래교육학연구 제32권 제2호, 23~4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 한정하여 학생이 인식하는 교수법 변인을 중심으로 교사의 수업 방법을 유형화하고, 이러한 수업방법 유형에 따라 교과 흥미와 학업 성취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학교 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전국 수준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특히, 학교 급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 학교급을 포함시켜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군집분석과 판별분석을 사용하였다. 첫째,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수학 수업 방법은 3개의 군집인 즉 교수자중심 교수법과 학습자중심 교수법이 모두 높은 군집1, 교수자중심 교수법과 학습자중심 교수법이 모두 낮은 군집2, 교수자중심 교수법이 높으며 학습자중심 교수법이 평균수준 혹은 낮은 수준의 군집3으로 유형화되었는데, 학교 급과 학교 유형에 따라 프로파일 양상이 상이했다. 둘째, 군집2의 비율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면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일반고의 경우에는 중학교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특목고는 일반고에 비해 수업에서 군집1의 비율이 높았으며, 일반고에서는 특목고보다 군집3이 더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셋째, 모든 학교 급에서 수학 흥미는 군집1, 군집3, 군집2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든 학교 급에서 군집1이 군집2보다 수학성취도가 높았으며, 특목고에서는 군집3이 군집1과 수학 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교수법이 교수자중심 및 학습자중심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급에 따라 다양하게 유형화됨을 확인하였으며, 대체로 학습자중심이든 교수자중심이든 교사의 수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학습자의 흥미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ing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subject-specific interests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methods perceived by students. Method: Discrimina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as employed. Results: First, It was classified in 3 clusters: Cluster 1 is High Teaching Methods Cluster-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and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are all high, Cluster 2 is Low Teaching Methods Cluster-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and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are all low, Cluster 3 is Instructor-Centered or Low Learner-Centered Cluster-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is high but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is mean or low. Clusters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methods perceived by students were different among school levels. Second, Low Teaching Methods Cluster’ ratio increased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In case of general high school, the level was similar to that of middle school. Also In case of high school, High Teaching Methods Cluster’ ratio high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Third, At all levels of the school, the subject-specific interests in Mathematics was in order of High Teaching Methods Cluster, Instructor-Centered or Low Learner-Centered Cluster, Low Teaching Methods Cluster. Finally, At all levels of the school, High Teaching Methods Cluster had higher achievement.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신복(Yu, Sinbok),김혜숙(Kim, Hye-Sook). (2019).수학교과에서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 유형 분석. 미래교육학연구, 32 (2), 23-41

MLA

유신복(Yu, Sinbok),김혜숙(Kim, Hye-Sook). "수학교과에서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 유형 분석." 미래교육학연구, 32.2(2019): 23-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