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립학교법상 형사기소로 인한 직위해제 -그 한계와 정당성 판단을 중심으로-

이용수  14

영문명
Administrative Leave for Indictment in Private School Act -Focused on its Limits and Review over Procedural Requisites-
발행기관
대한교육법학회
저자명
이순철(Sun Chol Lee)
간행물 정보
『1. 교육법학연구』제22권 제2호, 171~19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구 국가공무원법 직위해제 관련규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에 따라 고쳐진 국가공무원법과 병행하여 사립학교법은 형사기소의 경우를 필요적 직위해제사유가 아니라, 임의적 사유로 규정한다. 이것은 인사권자로 하여금 형사 기소된 교원이나 직원을 무조건 직위해제 하여야만 한다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정을 참작하여 직위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폭 넓은 재량을 허용함을 의미한다. 한편, 법이 형사기소나 징계의결 요구로 인한 직위해제를 하도록 규정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즉 직위해제의 목적에 대하여 직위해제될만 교직원을 직무집행으로부터 배제하는 것이 공익에 부합하기 때문이라는 통설이나 판례는 문제가 있다. 그러한 공익목적 외에도 해당교직원이 형사나 징계절차에서, 특히 형사기소 된 경우에 무죄추정의 원칙을 구현하고 자기방어를 충실히 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는 보호적 측면도 함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동기, 즉 형사기소가 직위해제의 필요적 사유가 아니라 임의적 사유로 전환 되었음 과 형사기소로 이한 직위해제의 목적에 보호적 측면도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인사권자의 재량권은 매우 광범위하게 확장되었다. 그런데 재량권 행사는 불행히도 권한남용이나 일탈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부정적 부분도 있음을 생각할 때, 그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모색이 절실해 진 것이다. 그러한 방안으로 형사기소 라는 문리적 전제조건에만 집착할 것이 아니라, 기소된 범죄 태양, 고의 과실 여부, 유 무죄 내지 형량 등 예측되는 판결 결과를 따라서 기소된 교직원을 계속 직무 수행케 함이 공익에 반하는지 여부와 직무를 수행하지 못함에서 침해되는 교직원의 권리와 이익을 비교형량 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나아가서, 1, 2심 등에서 무죄판결이나 직무의 계속 수행을 불가능 내지 곤란케 하지 않는 형이 선고된다면, 직위해제를 풀어야 마땅하고 반드시 확정판결까지 직위해제를 지속하는 것이 온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끝으로, 형사기소를 이유로 직위해제된 교직원에게도 출근의무가 있는가? 나아가서 대기발령이 함께 내려졌을 때 그 대기발령의 효과 은 유효할 것이냐가 문제이다. 대기발령을 직위해제의 한 내용으로 보아버리는 통설과 판례에서는 간과되는 부분이다. 형사 기소된 직위해제 교직원의 출근의무는 원칙상 없다고 보아야 한다. 형사 기소된 자에게 출근의무를 강제하는 것은 직위해제 사유로 삼는 이유와 논리적으로 모순이고 부당하다는 것이다. 같은 이유로, 대기발령이 자택대기 라면 모를까 출근대기라면 그 효력을 부정하여야 옳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over the limits and review of the requisites of administrative leave for indictment in korean Private School Act. Generally, the administrative leave in korean law is to define as an order of employers to exclude a staff from working against the staff`s will. It is a temporary leave from a job assignment, not for good. The term is reserved not only for employees of non-business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police, military and hospitals but also for businesses, with certain variations. In this sense, it can be classified as a kind of so to say unfavorable acts causing a review of Appeal Commission for Teacher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prescribed in the Special Act for Promoting Teachers` social Status. According to the Private School Act and the bylaws of the boards of trustees, indictment is one of the causes enabling the school authority or the chief of the board of trustees to order an administrative leave. Reasons for administrative leave other than indictment are insufficient capability of work for given position or extreme inadequacy, or extreme unreliability in working morale and in the case of disciplinary session demanded. In this article I start from an assumption that th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in 1998 that the exception clause of Sentence 1, Art. 73-2 of National Servants Act which prescribed a compulsory (not permitting employer`s discretion) reason for administrative leave in case of indictment is unconstitutional. After the ruling the clause was corrected into discretion clause. The Private School Act also does not compel the personnel authority of a private school to give a teacher or staff who is indicted an administrative leave, but leaves it at its discretion. I admit that this changed situation of law deserves positively for the sake of promoting social status of teachers. Paradoxically enough, however, wide and uncontrolled discretion may lead to misuse of power as we constantly take lessons in human history. To solve this ``irony`` researchers and especially judges have to set a precise requisites of administrative leave. At the same time, they need to ponder over the purpose of administrative leave carefully. Rulings and prevailing opinion are that the purpose of administrative leave is exclusively to preclude an employee from the work or the position. However, I think that administrative leave serves not only to public interest, but also to the right of self protection of individual. Especially it dedicates to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or in dubio pro reo by exempting the accused from the work in order that he or she can pay good attention to defending in a criminal or disciplinary procedure. Since a school authority is legally not compelled to give an administrative leave for any indictment, it is fully eligible to consider over the characteristics of crime accused, if the staff is in custody or not, how high the punishment would be etc. before making up its mind. For the same reason, an administrative leave must not prolonged until the judgement indisputably established, but may be revoked when the defendant turned out to be innocent or judged with light punishment that is considered not to hinder the workforce or fairness of accomplishment. Authors tend to regard administrative leave and placing a staff on the waiting list without assignment (I``m not sure if there is any equivalent term in USA) as the same. Therefore, they would not like to deal the limits and justifiability of administrative leave with respect to its contents. Consequently, they are apt to recognize the obligation of attendance during the administrative leave. I think it logically incorrect and unjust in the light of the purpose of the administrative leave for indictment. It`s clear that a staff who is indicted and given an administrative leave can hardly prepare for defending what the constitutional court proclaimed, when he is forced to attend reg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직위해제 일반에 대한 고찰
Ⅲ. 임의성에 기한 한계
Ⅳ. 기소내용상의 한계
Ⅴ. 기소의 시간적 한계
Ⅵ. 내용상의 한계
Ⅶ. 결론: 정당성 판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순철(Sun Chol Lee). (2010).사립학교법상 형사기소로 인한 직위해제 -그 한계와 정당성 판단을 중심으로-. 1. 교육법학연구, 22 (2), 171-190

MLA

이순철(Sun Chol Lee). "사립학교법상 형사기소로 인한 직위해제 -그 한계와 정당성 판단을 중심으로-." 1. 교육법학연구, 22.2(2010): 171-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