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인권조례의 현황과 공법적 쟁점
이용수 48
- 영문명
- The Current Status & Public Legal Issues on Students Human Rights Ordinance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저자명
- 정순원(Soon Won Jeong)
- 간행물 정보
- 『1. 교육법학연구』제23권 제2호, 193~21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기도의 학생인권조례 제정을 시발점으로 현재까지 총 11개 시도에서 학생인권 보장을 위한 조례 제정을 추진했거나 추진 중에 있다. 학생의 인권보호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자주법인 조례를 제정함으로써 학생인권을 더욱 강하게 보장하고자 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그런데 학생인권조례 제정에 긍정적인 입장도 있고, 부정적인 입장도 있어 갈등이 초래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학생인권조례 제정으로 인해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측면의 쟁점들을 분석하고 좀 더 학생의 인권보장을 위한 실질적 방안이 무엇인지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전국적으로 학생인권조례를 제정하고자 하고 내용적인 측면에서 시도별 큰 차이가 없다면, 헌법 제117조에 근거한 시도의회의 자치입법권의 한계를 일탈하는 측면이 있고, 시도의 자치법규로서의 성격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교 이외에 가정, 지역사회에서의 인권보장을 위한 내용을 포괄하는 인권조례가 제정되어야 한다. 또한 법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합의되지 않은 학생인권문제(체벌, 두발과 복장문제 등)에 대해서는 좀 더심도 있는 논의와 학생참여를 통한 학교규칙으로 제정하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A total of 11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ttempt to enacted ordinances for protection of the students human rights after enacting Gyeonggi-do students human rights ordinance in 2010. Recently, this is national trend to protect student`s rights, that is very desirable. But a student of human rights ordinance has surely some positive aspects but, have negative ones, too. So, this study will analyze and review the current status and a legal issues to being raised on ordinance of student`s human rights. As the result, I doubt whether ordinance is needed, because human rights ordinance are enacted across the nation,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sts of students human rights. So, I think that the national law as a student of human rights is more protect them than ordinance. And if they want to enact the ordinance, they have the character of the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It will include the right which is related to the family and community, in addition to school. Additionally, students human rights is possible to protect through school rules which do not agree with the legal and social issues of human rights(corporal punishment, hair and costume issues, etc.) and that is needed for more discussions with students and lead to agreem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