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저자명
- 황준성(Jun Seong Hwang)
- 간행물 정보
- 『1. 교육법학연구』제27권 제3호, 333~36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원법제를 체계적으로 이해함에 있어 기초적 논의 주제라 할 수 있는 학원법의 의의, 법 체계상 위상, 규율대상 및 보호법익 등 학원법제에 관한 법이론적 접근과 함께 근대 이후 우리나라 학원법제의 형성과정, 관련된 헌법재판소의 주요 판례 경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학원법제에 관한 기초이론과 역사적 변천, 법원의 법인식을 아우르는 것으로 그 동안 미흡했던 학원법제에 관한 관련 이론의 정립 및 향후 실정법 개정 과정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und a new and independent theory on the legislative system related to private education law for following studies. And to seek a legislative policy implication for amendment of 「Act on the Establishment, Operation of Private Teaching Institutes and Extracurricular Lessons」. The major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analyzes the ground meanings,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and characters on legislative system related to private education law. Secondly, it investigates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Legislative System related to Private Teaching Institute in Korea. Finally, it searches the reality of law recognition and possibility of judicial guarante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by analysing its judicial precedents regarding 「Act on the Establishment, Operation of Private Teaching Institutes and Extracurricular Lessons」.
목차
Ⅰ. 서론
Ⅱ. 학원법의 의의와 성격
Ⅲ. 학원법제의 형성
Ⅳ. 학원법제 관련 헌법재판소 판례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역단체장과 교육감의 교육사무집행상 분쟁해결기제
- 평생교육법상 교육감과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연구
- 인성과 인성교육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수능시험 출제오류로 인한 국가배상책임의 성립 검토 -객관적 정당성의 상실에 대한 적용을 중심으로-
- 중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시행주체의 법적 근거 변화에 따른 출제방향 및 기준의 변천 특징 분석
- 헌법원리에 비추어 본 교육감 직선제의 문제점과 제(諸)대안의 적실성 검토
- 인성교육진흥법의 내용과 쟁점 논의
- 지방교육자치제의 헌법적 본질 관점에서 본 교육감-교육부 장관의 갈등 조정에 관한 연구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의 법적 해석과 적용
- 지방교육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법제도적 방안
- 헌법재판소의 수석교사제 결정례의 평석을 통한 수석교사제 규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법치국가의 가치 실현 과 시민교육
- 학원법제의 의의 및 형성에 관한 연구
- 대학 연구윤리규정의 내용 분석과 정비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