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도시의 노후주거지 정비와 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도시규모별 대안을 중심으로 -
이용수 156
- 영문명
- A Study on Directions for Management Polic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by City Size in Korean Provincial Cities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손창희(Son, Chang Hee) 장한두(Jang, Han Doo)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7권 제2호 (통권 제44호), 197~21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by city size in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in South Korea.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face-to-face interviews and constructed questionnaires was used. The literature reviews was performed for selecting items for the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expert interview was done in February 2013. The participants for interview were 18 public service personnel working for 18 provincial cities at Chungchong and Jeolla provinces in South Kore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in March 2013 and February 2014. Participants were 123 public service personnel working in 12 provincial citi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simple linear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Medium cities had a lower evaluation level in the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residential areas than large and small cities. It was related to the declining old downtowns due to new town developments. In provincial cities, problem factors affecting the evaluation level on redevelopment and regeneration were an inefficiency of maintenance and planning system, and a lack of methods to redevelop & reorganize. By cities sizes, the alternative factor was a diversifying methods to improve & redevelop in large cities. In medium cities, problem factor was a lack of effects in improving & managing residential areas and alternative factor was establishment of new policies & regulations. In small cities, problem factor was a shortage of public funds and connectivity of projects and alternative factor was activation of private development projects.
The results will provide the directions for management policy about the regeneration and redevelopment projects of provincial cities in South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분석의 틀 설정
Ⅲ. 인터뷰 조사결과
Ⅳ. 도시 현황과 주거환경 관리의 한계
Ⅴ. 주거지 정비․관리의 대안적 방향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거환경만족도 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 주거실태조사의 설문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
- 지방도시의 노후주거지 정비와 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도시규모별 대안을 중심으로 -
- 도시재생뉴딜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부지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성남시 주택매입사업을 중심으로 -
-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에 관한 인식 연구
- 딥 러닝을 이용한 주택가격 예측에 관한 연구
- 허위·과장 유치권행사에 대한 매수인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 대형할인마트와 전통시장의 상생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문화상업가로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시 김광석길 및 방천시장을 사례로 -
- 친환경 대공간 건축물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 1인 가구 특성에 따른 주거복지정책 연구
- 신축 건물로 인한 주거환경의 침해에 관한 사례연구 - 일조, 조망 및 사생활 침해를 중심으로 -
- 지역별 빈집의 유형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부산·울산·경남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