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거환경만족도 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 주거실태조사의 설문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
이용수 154
- 영문명
- A Study on Reliability Improvement in Residential Satisfaction Evaluation - Focused on Survey Questionnaire Design in KHA -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박동찬(Park, Dong Chan) 최정민(Choi, Jung Min)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7권 제2호 (통권 제44호), 67~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of residential satisfaction evaluation in terms of the SP (Same-Pattern) responses suspected as outliers under the 2006-2017 KHS.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developed from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Same-Pattern (SP) responses obtained across 2006-2017 KHS, each of three distinctive questionnaires types (type B, R, and D) are prepared and distributed to 750 respondents (2,250 respondents in total) through onlin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duced type R , in which the number of questionnaire items is reduced in an attempt to lower the likelihood of unreliable answers resulting from the fatigue effect, adversely affected the result and presented even greater tendency towards SP responses. It is concluded that such simple measures of reducing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do not effectively address the problem of SP occurrence that is suspected of being outliers.
Second, the Divided type D , in which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divided into multiple sub-groups in an attempt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respondents and prod them into action, presented the lowest occurrence of SP responses. Moreover, this type is likely to have the lowest possibility of co-existing outliers, the result confirmed by the verification process using statistical and machine-learning analysis.
Third, it became clear that reducing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while simultaneously inserting heterogeneous intermediary questionnaires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conduct the table-formulated satisfaction evaluation utilizing a Likert scale. However, since an excessive partition may cause unnecessary psychological pressure on respondents and increase the likelihood of SP outlier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utilize the carefully designed framework for the best resul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주거환경만족도 평가의 문제 제기및 모의실험 설계
Ⅳ. 설문 구성방식에 따른 주거환경만족도 평가 온라인설문조사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거환경만족도 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 주거실태조사의 설문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
- 지방도시의 노후주거지 정비와 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도시규모별 대안을 중심으로 -
- 도시재생뉴딜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부지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성남시 주택매입사업을 중심으로 -
-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에 관한 인식 연구
- 딥 러닝을 이용한 주택가격 예측에 관한 연구
- 허위·과장 유치권행사에 대한 매수인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 대형할인마트와 전통시장의 상생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문화상업가로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시 김광석길 및 방천시장을 사례로 -
- 친환경 대공간 건축물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 1인 가구 특성에 따른 주거복지정책 연구
- 신축 건물로 인한 주거환경의 침해에 관한 사례연구 - 일조, 조망 및 사생활 침해를 중심으로 -
- 지역별 빈집의 유형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부산·울산·경남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