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인 가구 특성에 따른 주거복지정책 연구
이용수 350
- 영문명
- A Study on Housing Welfare Polic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김진현(Kim, Jin Hyun)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7권 제2호 (통권 제44호), 87~10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fter forming latent variables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on housing welfare policy.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data reliability and validity check to examine whether the data is appropriate for factory analysis,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data was appropriate according to KMO and Bartlett’s test. Second, when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was implemented, it was proved that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housing preference attributes, housing satisfaction, variables of housing welfare policy were acceptable models. The standardized factor loading, on the other hand, showed desirable explanatory power for many variables except for locational and spatial factors. Third, the results of model’s goodness of fit met criteria except for Chi-Square Test of Model Fit. Even in the case of C.R. values and standardized factor loading, most variables except for location and spatial factors, demonstrated desirable explanatory power. Fourth, validity of AVE values to secure reasonableness of judgment was also obtained.
To summarize the studies, it has been found that differentiated policy is needed for housing welfare policy of single-person household according to housing preference attributes and housing satisfaction and focus should be placed on eight housing welfare policies. The correleation test between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housing welfare policy based on age group (35 years old and 65 years old) shows that there was no effect for the group of 35 years-old or less.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people in this age group put their priority of life on jobs, marriage, and carrier. On the other hand, for those over 65 years old (seniors), it has been found that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do have effects on housing welfare policy. This result agrees with the social trend facing super-aged socie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의 설계
Ⅳ. 실증 분석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거환경만족도 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 주거실태조사의 설문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
- 지방도시의 노후주거지 정비와 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도시규모별 대안을 중심으로 -
- 도시재생뉴딜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부지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성남시 주택매입사업을 중심으로 -
-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에 관한 인식 연구
- 딥 러닝을 이용한 주택가격 예측에 관한 연구
- 허위·과장 유치권행사에 대한 매수인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 대형할인마트와 전통시장의 상생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문화상업가로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시 김광석길 및 방천시장을 사례로 -
- 친환경 대공간 건축물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 1인 가구 특성에 따른 주거복지정책 연구
- 신축 건물로 인한 주거환경의 침해에 관한 사례연구 - 일조, 조망 및 사생활 침해를 중심으로 -
- 지역별 빈집의 유형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부산·울산·경남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