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Followers’ Voice Behavior
- 발행기관
- 리더십학회
- 저자명
- 조봉순(Bongsoon Cho) 김선호(Sunho Kim)
- 간행물 정보
- 『리더십연구』제10권 제3호, 123~15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존 연구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발언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지만, 구체적으로 변혁적 리더십의 어떠한 측면이 어떻게 발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의 각 구성요인이 발언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부하의 발언 효능감과 심리적 안전감에 의해 매개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인 중 카리스마, 영감적 동기부여, 지적 자극은 발언 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개별 적 배려는 심리적 안전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 결과 발언 효능감은 카리스마가 발언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적 안전감은 개별적 배려가 발언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Althoug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been frequently examined as one of the key predictors of subordinates voice behavior,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studies which asp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impact on subordinates voice behavior and in what way they influence on voice behavior.
This research attempted to identity the impacts of four dimension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e., charisma, inspirational leadership,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on subordinate voice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employees’psychological states, voice efficacy and psychological saf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 Empirical test of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erformed by surveying 107 employees from 13 companies in manufacturing, service, and financial service industries.
The results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harisma and voice efficacy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psychological safety were supported.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were not proven to have positive impact on voice efficacy. Second, Voice 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voice behavior but psychological safety was not proven to be related to subordinates voice behavior. Third, These two variables have shown to have mediating effects between charisma and voice behavior in the case of voice efficacy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voice behavior in the case of psychological safety.
This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rationale to help understand the process of leadership on subordinates voice behavio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