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among Self-Leadership, Perceived Supervisory an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Employees of Relocated Public Institutions
- 발행기관
- 리더십학회
- 저자명
- 김주하(Ju-Ha Kim) 윤동열(Dong-Yeol Yoon) 김성훈(Seonghoon Kim)
- 간행물 정보
- 『리더십연구』제10권 제3호, 33~5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방이전 공공기관 구성원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상사지원인식, 조직지원인식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사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지역으로 이전한 공공기관 구성원 450명에게 설문자료를 배포하고 이중 366부를 통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 중 행동전략, 자연적보상전략이 공공기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 및 조직지원인식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 및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상사지원인식은 셀프리더십 중 건설적사고전략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은 행동전략 및 건설적사고전략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is on the gradual increase in today s corporate environment and the role of each organizational member as a leader is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elf-leadership aff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members of relocated public institutions. It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hich are regarded as two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organizational members behaviors and attitud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50 members of public institutions relocated in Ulsan and 336 copi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ehavior-focused strategy and the natural reward strategy among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public institution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both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public institution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Both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higher the former, the higher the latter.
Third, as for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oth of them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ose effects were only found between the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among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and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 between the behavior-focused strateg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between the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make public institutions more competitive through improvement in the culture of public organizations, which involves promotion of autonomy, so that members can exert self-leadership and implement a systematic strategy to reinforce self-leadership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s on the decrease due to relo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설설정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