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ctual Production of 19th Century Women s Costume Dress
- 발행기관
- 한국산업기술융합학회(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 저자명
- 김준석(Jun-Suk Kim)
- 간행물 정보
- 『산업기술연구논문지』산업기술교육훈련논문지 제18권 1호, 33~5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공학 > 산업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19th century women s costume dress are as follows.
First, the dress of 1806~1809 has the square neck line with band of front & back plates which has a great
many gather around neck, the front body plate with high waist line which has a great many gather on waist line and the slight gather on the sleeve cap, the back body plate with center line opening and closing with button & string, the button hem line with natural curve and the back plate is longer than the front plate. Second, the dress of 1830~1836 has the V-neck line with scallop collar of front & back plates which has the shirring, the front body plate with natural waist line, large quantities of gather on the sleeve cap, sleeve side line opening closed by hooks, and the bottom hem line which has cotton pad in it. Third, the dress of 1837~1841 has the round neck line, the front body plate which is decorated patches on princess line and should line, a great many of single pleats on the waist line, the back body with the princess line, large quantities of gather on the waist line, back center opening closed by hooks, the 14-line shirring of sleeve cap and the sleeve side line opening and cuffs, now the pattern configura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19th women s costume dress are checked. In its configuration through the pattern design, the body plate cutting line was changed to smooth the connection of sectional parts and make it close to the human body. So, we can see that the delicate pattern design technique had been developed.
With this actual re-production, the shape features of dress and its pattern configuration could be well captured, which seems to be helpful in studying the western clothing history and pattern as well as the new pattern development.
This study was centered on the production process of outer clothing. There were great difficulties in re-producing the aged clothing because the correct configuration method could not be obtained just through the
document study. It was also unsatisfactory for us not to use the materials and the accessories fully for each dress typ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티켓 재요청에 따른 최적 Kerberos 메카니즘 모델링의 설계
- 순차이송 금형의 자동차 Seat Rail 적용방안 개발에 관한 연구
- Atmega88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모터 엔코더 신호 검출 기법
- RF 트랜지스터의 접합 금속화 구조와 소결 온도의 영향
- 원편파를 이용한 무전극 고압 방전 램프 특성에 관한 연구
- TIPS-펜타센의 결정 모폴로지 및 결정방향 제어에 의한 OTFT의 성능 개선
- 타이로드형 공기압 실린더의 수명 및 성능 열화 특성에 대한 연구
- 열처리한 SM45C의 충격 및 조직적 특성
- 외란에 강인한 균형 로봇의 제어
- 19세기 여성복 드레스 실물제작에 대한 고찰
- 대학생의 성격요인이 구직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효율적 시민미디어 방송을 위한 Public Access 적용에 관한 연구 - 퍼블릭 액세스의 국내외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 사례를 통한 기술윤리문제와 그 해결기법 연구
- 차량 분류를 위한 적응 지능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산업공학분야 BEST
- AI-교사 협력 모델을 통한 교육적 관계 분석 : 가상 시나리오 기반 연구
- 웹소설에 나타난 ‘회귀와 환생’의 욕망코드
- 노인의 여가만족과 사회적 건강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공학 > 산업공학분야 NEW
- 첨단 반도체 패키징 적용을 위한 DPSS 레이저를 이용한 디본딩 메커니즘 연구
- AI 반도체 패키징을 위한 최근의 Through-Glass Via (TGV) 형성 기술
- 3D-DIC와 스티칭 기법을 활용한 대면적 Warpage 및 국소 면내방향 변형률의 동시 정량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