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Laser Debonding Mechanism Using DPSS Laser for Advanced Semiconductor Packaging
- 발행기관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 저자명
- 최인성(Insung Choi) Xuan-Bach Le 좌성훈(Sung-Hoon Choa) 서정(Jeong Suh) 모성원(Sungwon Mo) 이승훈(Seunghoon Lee)
- 간행물 정보
-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제32권 제2호, 55~6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산업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첨단 반도체 패키징 기술 분야에서 임시 본딩 및 디본딩에 적용하기 위한 레이저 디본딩 기술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레이저 디본딩은 비접촉식, 높은 수율, 대량 생산, 빠른 공정 시간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자외선 파장의 다이오드 펌핑 고체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디본딩의 적용 가능성을 시험하였지만, 디본딩 메커니즘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파장의다이오드 펌핑 고체 레이저와 갈바노미터 스캐너 시스템을 사용하여 레이저 디본딩 연구를 수행하였다. BrewerBOND사의 임시 본딩 재료와 레이저 디본딩이 가능한 에너지 밀도를 조사하였고, 재료 분석 및 열전달 시뮬레이션을 통해 디본딩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또한, 12인치 웨이퍼를 이용한 실용화 가능성 시험도 수행했지만, 약간의 탄소 잔류물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탄소 잔류물을 최소화하기 위해 레이저에너지 밀도와 재료 구조의 최적화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초박형 웨이퍼의 첨단 패키징에 적용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laser debonding technology for application to temporary bonding and debonding in advanced semiconductor packaging. Laser debonding has a lot of advantages such as contactless, low device damage, large-scale manufacturing, and rapid processing time. Although several researches have explored feasibility tests for laser debonding using ultra-violet diode pumped solid-state (UV DPSS) laser, debonding mechanism was less reported. Herein, laser debonding was carried out using UV DPSS nanosecond pulse laser and galvanometer scanner system. Debonding fluence about temporary bonding materials by BrewerBOND was investigated and debonding mechanism was studied with heat transfer simulation. In addition, debonding feasibility tests with 12 inch wafer were also performed, but some debris were observed. Our study indicates that optimization of laser fluence and material structure are necessary to minimize debris and damage and it shows a potential possibility for application in advanced packaging of ultra-thin wafer.
목차
1. 서 론
2. 실험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첨단 반도체 패키징 적용을 위한 DPSS 레이저를 이용한 디본딩 메커니즘 연구
- AI 반도체 패키징을 위한 최근의 Through-Glass Via (TGV) 형성 기술
- 3D-DIC와 스티칭 기법을 활용한 대면적 Warpage 및 국소 면내방향 변형률의 동시 정량 분석
- 전통 반도체 패키지를 위한 고방열 다이 어태치 필름(DAF) 기술 동향
- 첨단 반도체 패키징을 위한 저온 Hybrid Cu Bonding 연구 동향
- 미세 Ru 배선 적용을 위한 확산방지층 소재가 Ru/SiO2 계면접착에너지에 미치는 영향
- 반도체 패키지 마이크로 비아에서의 구리 충진 거동과 미세조직에 미치는 전해 도금 유기첨가제의 영향
- 전도성 나노 카본 파우더의 입자 크기에 따른 레올로지 특성 및 전도성 평가
- 임피던스 스펙트럼의 심층학습을 통한 표면 실장 커패시터의 균열 진단
- MUF 공정이 적용된 유리 기판 기반 다중 칩 패키지의 칩 배열에 따른 휨 변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산업공학분야 BEST
- 웹소설에 나타난 ‘회귀와 환생’의 욕망코드
- AI-교사 협력 모델을 통한 교육적 관계 분석 : 가상 시나리오 기반 연구
- 스케일링 교육경험 및 치과위생사의 태도가 치과공포에 미치는 영향
공학 > 산업공학분야 NEW
- 첨단 반도체 패키징 적용을 위한 DPSS 레이저를 이용한 디본딩 메커니즘 연구
- AI 반도체 패키징을 위한 최근의 Through-Glass Via (TGV) 형성 기술
- 3D-DIC와 스티칭 기법을 활용한 대면적 Warpage 및 국소 면내방향 변형률의 동시 정량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