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 약국으로 회수된 폐의약품의 종류와 약가 분석
이용수 246
- 영문명
- Current Status Analysis of Unused and Expired Medication Collected at Pharma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Practical Calculation of Their Quantity and Cost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김민영(Minyoung Kim) 최현규(Hyun-Gyu Choi) 모연화(Yeonhwa Mo)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63권 제3호(2019년), 144~15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Unused and expired medications (UEM) are increasing over time, and economic impact of UEM cannot be
overlooked anymore. Health insurance finances are limited and this means generation of UEM is pharmaceutical and
economical waste. Disposal cost of these also will be increasing. But until now there was no research data to determine the economic loss due to UEM in terms of cost in the Republic of Korea. This study attempted to calculate the cost of the UEM and estimate the degree of economic waste. And tried to discuss what the pharmacist could do to reduce the generation of the UEM. The UEM collection period was 3 months, from August to October 2016. A total of 10 pharmacies of nationwide joined this study. Each collected UEM was separated by kind, generic name, therapeutic group, medicinal product classification (prescription or non-prescription medicine, health functional foods, etc.), dosage form, route of administration, quantity, and finally their prices were calculated. The highest portion of drug groups was prescription medicines, which made up 89.4%. The average cost for one customer who brought UEM was calculated as 64,961 won for 11 items and 243 pills. In terms of the cost ratio, the prescription medicines were the highest at 90.6%. Gastrointestinal medicines were disposed of the most among the therapeutic groups; they were highest among all number of items, pills and cos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measuring and calculating the practical quantity and cost of UEM in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time to consider ways to curb the generation of UEM, including pharmacist intervention.
목차
서 론(Introduction)
연구 방법(Research Methods)
결 과(Results)
고 찰(Discussion)
결 론(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령 보훈의료지원 인구의 외래 처방의약품 사용경향과 적정성
- Mechanisms of Growth Inhibition by Sulfasalazine and Erasti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s
- TM3 세포에서 비수리 추출물이 테스토스테론 합성 및 분해에 미치는 영향
- 지역 약국으로 회수된 폐의약품의 종류와 약가 분석
- 고혈압 노인의 가구소득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 관계에서 약제비 부담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혈장시료 중 아세메타신과 인도메타신의 HPLC 동시 분석법 개발 및 생체이용률 시험에의 응용
- 신약개발 과정에서 약물대사 및 약동학 연구의 역할 변화
- 국내외 경구용 일반방출제제의 허가 후 변경에 관한 규정 비교연구 - 미국, 유럽, 한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