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약개발 과정에서 약물대사 및 약동학 연구의 역할 변화
이용수 585
- 영문명
- The Role Change of Drug Metabolism and Pharmacokinetics Research in the Drug Development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강원호(Won-ho Kang) 황진아(Jin-ah Hwang) 채정우(Jung-woo Chae) 권광일(Kwang-il Kwon) 윤휘열(Hwi-yeol Yun)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63권 제3호(2019년), 121~13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Global big pharmaceutical companies identify Absorption-Distribution-Metabolism-Excretion-Toxicity (ADMET)
properties in early drug discovery stage to improve poor pharmacokinetics (PK) and bioavailability (BA) that are the major cause of attrition rate in drug development in 1990s. Attrition rate due to poor PK and BA was around 40% among total attrition rate. Hence, they intend to assign in-vitro ADME assay evaluations at the early drug discovery stage for finding optimal ADME chemicals to reduce attrition rate. As a result, attrition rate in 2000s due to poor PK & BA greatly decreased to less than 8% and the role of Drug-Metabolism and Pharmacokinetics (DMPK) research has changed importantly during this process. According to this trend, canonical role of DMPK is moving fast to convergence area for optimization of new drugs. We expressed typical nonclinical work-flow in the 1990s and 2000s and tried to investigate how non-clinical work-flow changed in early drug discovery stage. The biggest changes are that in-vitro ADME assays were performed during the early drug discovery stage. In this review, we tried to inform to Korean pharmaceutical company about the world wide paradigm shift in DMPK research. We discussed drug discovery strategies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and the future direction of DMPK research scope.
목차
서 론(Introduction)
결 론(Conclusion)
감사의 말씀(Acknowledgmen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령 보훈의료지원 인구의 외래 처방의약품 사용경향과 적정성
- Mechanisms of Growth Inhibition by Sulfasalazine and Erasti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s
- TM3 세포에서 비수리 추출물이 테스토스테론 합성 및 분해에 미치는 영향
- 지역 약국으로 회수된 폐의약품의 종류와 약가 분석
- 고혈압 노인의 가구소득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 관계에서 약제비 부담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혈장시료 중 아세메타신과 인도메타신의 HPLC 동시 분석법 개발 및 생체이용률 시험에의 응용
- 신약개발 과정에서 약물대사 및 약동학 연구의 역할 변화
- 국내외 경구용 일반방출제제의 허가 후 변경에 관한 규정 비교연구 - 미국, 유럽, 한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