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축법상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에 관한 제도 개선 연구
이용수 82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 Site and Road of Building Law - Focused on Implications through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최명진(Choi, Myung Jin) 동재욱(Dong, Jae Uk) 이화룡(Lee, Hwa Ryong) 김종호(Kim, Jong-Ho)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49호, 67~8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로는 도시환경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건축행위에 있어 건축입지 가능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건축법에서 도로는 차량과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도로로 인정하며, 도로에 소정의 너비를 접하여야 건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로의 인정여부는 건축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건축허가시 도로와 관련하
여 건축주와 허가권자간 분쟁 발생의 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건축법에서 정하고 있는 도로의 정의와 접도의무 규정을 분석하고 한국과 법령체계와 내용이 유사한 일본의 제도와 비교 분석하여 대지와 도로의 관계에 대한 제도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현행 건축법의 문제점으로 관계법령에 의한 예정도로의 인정범위, 건축법 적용이전의 사실상 도로의 인정 여부, 접도의무 예외의 인정절차, 건축법외
다른 법령에서 건축행위에 대한 접도규정 적용 등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하여 일본 제도와의 비교를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접도의무 규정의 정비는 건축행정의 효율성증대와 건축입지 가능성 판단을 위한 민원인의 편의 증대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Roads are not only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urban environment, but also an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the availability of buildings in building activities. In the Building Law, roads are recognized as roads when they meet certain requirements for vehicles and people to pass through, and buildings can be constructed by contacting roads within a certain distance. As a result, it is an important factor to decide whether or not to permit construction according to whether roads are approved or not. It is also a factor in the dispute between the owner and the licensee regarding the road in building perm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finition of roads and the requirements of roads in the Building Law,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building law are not limited to the scope of approvals of planned roads by the relevant laws, the recognition of roads before application of the building law, the recognition procedure of the obligation exceptions, and the application of the Korean congregation regulations, and suggested some implication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Japanese system. It is expected that improvement of contact duty regulations will help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administration and convenience of civilian to judge the
possibility of building location.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Ⅱ. 도로에 대한 일반적 고찰
1. 도로의 개념
2. 국내 선행연구 고찰
Ⅲ. 한․일의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 비교 분석
1. 한국
2. 일본
3. 한․일 양국의 제도 비교 분석
4. 시사점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택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주택 시장 및 도시 특성 분석 연구
- 실험경제학 방법에 의한 부동산 시장 참여자의 합리성 분석
- 건축법상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에 관한 제도 개선 연구
- 대한부동산학회지 제49호 목차
-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이동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업무용 빌딩의 임대료와 점유비용 결정요인 연구
- 최저임금이 공동주택 관리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금리변동성에 대한 국면별 부동산경매낙찰가의 비대칭적 반응 연구
- 주동 샤프트 공간을 활용한 흡연샤프트 공간계획 연구
- 비트코인(금)의 거시 경제적 변동에 대한 헷지능력
- 제4차산업혁명시대 부동산산업의 정보기술 수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 운용에 관한 고찰
- 공동주택 관리서비스 중요도에 관한 연구
- 인구이동이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구이동 동기별 차이를 중심으로
- 관리주체에 따른 공동주택 관리비 격차 요인 분해
- 친환경 공동주택의 환경요인과 주거만족도 및 거주의도
- 지식산업센터 이전기업의 성장효과와 결정요인 분석
- 무허가 토지거래계약에 대한 정지조건론적 재해석
- 방치건축물의 효율적 정비를 위한 제도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