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EunYoung Kang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18권 2호, 31~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peer feedback practices over a 12-week semester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EFL learners’ writing abilities at both the global level (i.e., organization and content) and the local level (i.e., grammar, vocabulary, and mechanics). High school students from two intact classes were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n=24) or a comparison (n=24) condition. Both groups took pre- and post-writing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peer-review training and peer reviews, whereas the comparison group engaged in self correction and regular English instruction. In the post-test, the peer-review group achieved a higher mean total writing score than the comparison did.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that the peer review group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comparison group in terms of organization, content, and grammar. Participants who display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peer reviews benefited more than those who did not hold a favorable view toward feedback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peer reviews in EFL classes are discuss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LIMITAT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FL Students’ Perspectives on Speaking Performance and Language Anxiety
- 한국 대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 신장을 위한 모바일기반 플립 러닝 모델의 적용과 효과
- Effects of Peer Feedback on L2 Students’ Writing
- Critical Evaluation Components in English Essay Writing for Korean College Students
- Effects of Think-aloud with Feedback on College EFL Reading Comprehension
- 절대평가 도입 전후 수능 영어 독해 지문의 통사적 복잡성 비교
- 영어 몰입 환경에서 오류수정 피드백에 대한 원어민 교수와 학습자의 인식 조사
- 중학교 1·2학년 2015 개정 영어교과서 읽기 자료의 가독성 분석과 아동문학 선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