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ritical Evaluation Components in English Essay Writing for Korean College Students
이용수 8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HyunSook Ko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18권 2호, 51~7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components with human scores of writing to find out which components need intensive pedagogical intervention in EFL classrooms and which components can be regarded as good predictors for learners’ writing proficiency. Forty seven EFL essays written by Korean university beginner students were collected.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achieved their lowest scores in using background knowledge, reference or non-text materials, personal viewpoints, and other sources appropriately to support their ideas and refine the arguments. Through analyses of quantitative evaluation component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number of words in an essay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human scores (R²=0.52). The results suggest that priority of pedagogical intervention be given to managing Personalized Resources in EFL writing, particularly at the beginning and that number of words or text length can be referred to as the most reliable quantitative predictor for quick estimation of its proficienc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FL Students’ Perspectives on Speaking Performance and Language Anxiety
- 한국 대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 신장을 위한 모바일기반 플립 러닝 모델의 적용과 효과
- Effects of Peer Feedback on L2 Students’ Writing
- Critical Evaluation Components in English Essay Writing for Korean College Students
- Effects of Think-aloud with Feedback on College EFL Reading Comprehension
- 절대평가 도입 전후 수능 영어 독해 지문의 통사적 복잡성 비교
- 영어 몰입 환경에서 오류수정 피드백에 대한 원어민 교수와 학습자의 인식 조사
- 중학교 1·2학년 2015 개정 영어교과서 읽기 자료의 가독성 분석과 아동문학 선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문화감응교수를 활용한 KSL 수업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