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함석헌의 역사의식과 사유체계
이용수 128
- 영문명
- Ham Seok Heon"s Thought Structure, Method and Awareness of History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양현혜(Yang Hyun-Hye)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神學思想 2008년 가을호(제142집), 159~19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0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그의 사상을 담은 대표적인 책을 들라면 누구라도 단연 『뜻으로 본 한국역사』를 들 것이다. 이 책은 그가 남긴 많은 책들 중에서 가장 학술적이며, 자기 완결적인 체계를 가진 저작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글 중 가장 많은 이들에게 읽히고 영향을 준 대중적인 저작이기도 했다.
본고에서는 『뜻으로 본 한국역사』에서 나타난 함석헌의 사유체계를 규명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 그의 인간관과 역사관 그리고 종교관을 분석하려고 한다. 다시 말해 그의 사유체계가 어떠한 구조의 의미 그물망을 구성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 그 구조를 통해 함석헌이 궁극적으로 분명히 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그것이 오늘날의 우리에게 갖는 사상적 함의가 무엇인지도 가능한 한 조망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뜻으로 본 한국역사』에서 나타난 함석헌의 사유체계를 규명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 그의 인간관과 역사관 그리고 종교관을 분석하려고 한다. 다시 말해 그의 사유체계가 어떠한 구조의 의미 그물망을 구성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 그 구조를 통해 함석헌이 궁극적으로 분명히 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그것이 오늘날의 우리에게 갖는 사상적 함의가 무엇인지도 가능한 한 조망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A Korean History, Viewed Through Meaning is indisputably the book that exemplifies his thoughts. The book is the most academic among all his books and completely systemizes his thoughts. It is also more popular and influential to lay people than his other books.
This study tries to probe Ham"s thinking structure and method revealed in A Korean History, Viewed Through Meaning. For this purpose, it analyzes his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history, and his view of religion. In other words, it strives to explore how his thinking structure and method builds the network of meaning and what he tried to ultimately clarify through the network. Furthermore, as far as possible, it examines the-philosophical implication his thoughts and sayings have for 21" Century Korea.
This study tries to probe Ham"s thinking structure and method revealed in A Korean History, Viewed Through Meaning. For this purpose, it analyzes his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history, and his view of religion. In other words, it strives to explore how his thinking structure and method builds the network of meaning and what he tried to ultimately clarify through the network. Furthermore, as far as possible, it examines the-philosophical implication his thoughts and sayings have for 21" Century Korea.
목차
초록
1. 들어가는 말
2. 함석헌의 역사인식의 시점
3. 함석헌의 형이상학적 윤리사관
4. 함석헌의 종교관
5. 함석헌의 한국사관
6.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 문헌
Abstract
1. 들어가는 말
2. 함석헌의 역사인식의 시점
3. 함석헌의 형이상학적 윤리사관
4. 함석헌의 종교관
5. 함석헌의 한국사관
6.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내재화 문제 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PCIT-ED 사례 연구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권두언
- WYD Seoul 2027을 향한 ‘청년 사목’의 성찰적 제도화에 관한 연구: 시노달리타스의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에서 청년 신앙인으로 살아가기: 가톨릭 청년 사목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