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구논문]근대 초기 조선파견 여선교사의 페미니즘: 조선 '신여성'의 특수성 구명을 위한 기초 연구
이용수 151
- 영문명
- [ARTICLES]Feminist Consciousness of American Women Missionaries in Early Modern Korea: for the further inquiry of the paricular characteristics of 'New women' in colonial Korea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강선미(Kang Sun-Mi)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2004년 여름호(제125집), 65~9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How was the influence of the American women missionaries on the Korean women's lives in the early modernization period of Korea? Before answering to this question, we have to know what kind of women they were without any presumption of their monotonous identity as 'women imperialists.' This paper, as a feminist intervention between imperialism and nationalism, research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women missionaries in America, their social positions in the foreign missionaries' community in both America and Korea, and their socio-cultural specificity as christian women in the 19th-century America. In sum, there were feminist elements in their pursuit of 'women's work for women' in Korea despite of their apparent representation of the christian femininity of the time. Their unclaimed feminism could be positioned in between the 'maternal feminism' and 'modem feminism' emerged in the middle of and later part of the 19th century-America. This finding is important because the majority of the Korean 'new wom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from the christian women influenced by those women missionaries through their women's education movement, medical and social services.
목차
Abstract
1. 서론
2. 전문직 여선교사의 등장 배경
3. 미국 선교회의 가부장적 성별 관계와 전문직 여선교사
4. 서구의 근대 페미니스트들과의 차이: 계층적, 종교문화적 배경
5. 여선교사들의 직업관, 결혼관, 시민의식과 근대 페미니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구논문]근대 초기 조선파견 여선교사의 페미니즘: 조선 '신여성'의 특수성 구명을 위한 기초 연구
- [연구 논문]구약의 축복
- [연구 논문]새로운 토라 해석을 위한 음식 이미지 연구
- [연구 논문]"당신은 두지 않는 것을 취하고…"(눅 19:21): 자본의 우상화와 가난한 자들의 죽음
- [연구 논문]조직신학자를 위한 선교학-16세기 라틴 아메리카 선교가 제2토미즘 등장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심포지엄]6·15 남북공동선언의 의미와 한반도의 미래
- [해외 논문]생태학(Okologie)
- [연구 논문]통합학문의 주제로서 '생명'과 생명신학 연구
- [특집 논문]6·15 남북공동선언과 한반도 평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퍼펫을 활용한 가족 놀이치료 단일 사례연구 :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