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 3세대의 토착화 신학에 있어서의 종교간 대화의 과제와 전망
이용수 97
- 영문명
- The issues and views for third generation of korean Indigenous Theology- Focussing on religious dialog of Pyon, Sunhuan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김진희(Kim Jin-Heui)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50집(2010년 가을호), 117~14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0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토착화 신학 제 3세대 논의에 입각하여 오늘날에 있어서의 토착화 신학의 과제와 전망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본고는 토착화 신학의 신학적 전개 속에서 종교간의 대화의 측면에 주목하고, 그 중에서도 변선환의 종교간의 대화에 초점을 맞추어 토착화 신학에 있어서의 종교간의 대화가 무엇을 의미하며, 오늘날의 우리에게 어떠한 방향성과 과제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우선 토착화 신학에 있어서의 종교간의 대화의 의미를 세가지 측면에서 부각시키고, 이것이 변선환에게도 적용됨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변선환의 종교간의 대화의 두가지 축인, 야기 세이치(八木誠一)와 존 힉(John Hick)에 주목하여 각각의 신학의 특질을 검토한다. 또한, 변선환이 그 무게 중심을 야기로부터 힉으로 전환하게 되는 의미를 규명하고, 그 득과 실을 드러내겠다. 마지막으로 이와같은 검토에 근거하여 토착화 신학, 특히나 종교간의 대화에 있어서의 앞으로 과제와 전망을 필자의 입장에서 서술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clarify The issues and views for third generation of korean Indigenous Theology. Especially focussing on religious dialog of Pyon, Sunhuan. It first focuses on what is religious dialog meaning for korean Indigenous Theology. Second, the paper reveals two backgrounds, Yagi seichi(八木誠一) and John Hick, of Pyon, Sunhuan's religious dialog, and analyzes there theological characters. Third,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meaning of change from Yagi to Hick. Finally, based on these aguments, it describes The issues and views for korean Indigenous Theolog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토착화 신학과 종교간의 대화
3. 변선환의 종교간의 대화
4.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