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인홀드 니버의 인간 이해와 경제 정의
이용수 132
- 영문명
- Reinhold Niebuhr's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Economic Justice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이국헌(Lee Kuk-Heon)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62집(2013년 가을호), 187~22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0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니버의 경제 정의의 개념을 다룬다. 니버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사회 정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경제 정의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니버의 사회 정의 활동에는 경제 정의, 즉 경제민주화에 대한 관심이 분명하게 제시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이론을 통해 현재 논의되고 있는 경제 정의에 대한 사상을 공유할 수 있다. 먼저 인간 본성에 대한 니버의 이해는 자본주의의 문제점에 대해서 그가 주목하고 있는 바를 이해하도록 도움을 준다. 니버는 인간 본성에 대한 합리적인 이해를 거절하고 신정통주의 신학에 입각한 성경적으로 타락한 인간 본성의 이해를 받아들였다. 니버는 이런 인간 이해와 더불어 기독교 현실주의의 입장에 기초하여 근사치 정의를 강조하였다. 근사치 정의에 입각한 니버의 경제 정의의 개념은 두 범주로 요약된다. 첫째, 그는 사회민주주의의 입장에서 경제민주화를 경제 정의의 중요한 요소로 보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둘째, 1940년대 후반에 그는 사회주의를 포기하고 진정한 대안으로서 복지자본주의를 받아들였다. 그는 뉴딜, 페어딜과 같은 경제개혁정책을 지지하고 미국의 수전자본주의 안에서 경제 정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니버의 경제 정의에 대한 이해는 학문적 논란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4.0 의 시대인 21 세기 경제윤리 패러다임에 어느 정도 시사점을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economic crisis of today shows that capitalism based on the neo-liberalism has some kinds of problem. The neo-liberalism economic system has been intensified the economic polarization. As a result, the demands for economic democratization are increasing. This situation has inevitably provoked the concern for economic justice.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cept of Niebuhr' s economic justice. Even though Niebuhr must be a famous scholar in the field of social justice, there is little paper of his economic justice. However, Niebuhr gives us some ideas of the economic justice, because he has tried to be realized it in his time.
First of all, his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helped him to notice the problem of capitalism. Niebuhr rejected the rationa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realized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it according to the theology of neo-orthodox. He understood that human has incomplete reason rather than perfect and rational reason. With selfish human nature, capitalism cannot be realized the economic justice in this world. Under the foundation of this understanding, he insisted on the justice of approximation based on Christian realism. Although he thought that the real justice will be realized only in the kingdom of God, social and economic justice became his mission during his whole life.
The concept of Niebuhr' s economic justice can be summarized into two categories. First, He has considered economic democratization as an important element of justice and tried to be realized it in his society. In his book, The Children of Light and the Children of Darkness, he shows the viewpoint of social democracy. As a Christian social democrat, he has worked for social justice with organizing the Fellowship of Socialist Christians. But since the late 1940s, he gave up the socialism and received the welfare capitalism as a realistic alternative. Here, his second concept can be summarized in the field of economic justice. He supported the economi
목차
초록
1. 들어가는 글
2. 니버의 역사적 위치
3. 니버의 인간 이해와 경제 정의
4. 평가와 제안
5.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