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찬송 가사로서의 시편 번역

이용수  28

영문명
Psalm Translation for Lyrics: -Focusing on John Milton's Translations
발행기관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저자명
황원숙(Hwang Weon-suk)
간행물 정보
『신학사상』신학사상 162집(2013년 가을호), 249~27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0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기 기독교 전승을 이어받은 유럽의 국가에서는 시편의 번역은 언어교육을 받는 사람들에게 언어 훈련을 위한 과제였다. 신학적인 시인이 되는 것을 소명으로 삼았던 밀턴에게 자신의 시편 번역이 단순히 뜻을 옮기는 것이 아닌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었다. 밀턴은 시편의 시적 표현과 음률을 살리는 번역을 시도했다. 물론 이러한 번역은 성시집이 번역된 모든 나라의 시인들이 시도하려 했던 일이었고 항상 성공적인 결과를 내지는 못했다. 밀턴이 초기 습작시절부터 시작한 시편의 번역은 같은 시대, 같은 나라 사람들이 같은 언어로 번역한 것에 비해서 음악적인 면에 충실한 번역이다. 아직도 브리튼의 국교회인 영국 성공회와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성가집의 일부로 예배 중에 찬송으로 사용되고 있고, 또 한편으로는 충실한 번역시로 회자되고 있다. 본 논문은 밀턴의 시편 번역의 뛰어난 언어적 능력에만 주목하는 것은 아니다. 예배에서 어떤 찬송을 어떤 방법으로 부르는가 하는 것은 종종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의 경우처럼 진지한 신학적 논쟁이 되기도 한다. 밀턴의 신학적 소양과 입장은 그의 번역이 아직 살아남아 있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우리나라에도 예배 찬송에 시편의 전승을 더 많이 도입하기 위해서는 신학적으로 시편의 음악적 사용의 범위를 넓혀 주어야 할 것이다. 밀턴의 시편 번역이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는 것은 밀턴이 신학과 시적 자유를 결합한 시인이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translation of the Psalter was a very important linguistic exercise for the students of the languages in the early age of Christianity among the scholars and poets in the European countries . The translation of the Psalter has been long and important, however, not all the translations could be said to be successful. Translating Psalter involves linguistic skills, which contains semantical correctness and poetical expressions. In the long history of the translation the English Puritan Poet, John Milton's translations have survived a lot of contentious arguments. The main reason for this can be found not just in his poetical genius; it is from his solid theological background, which enables thriving and extensive expressions. In Korean churches, church music is important and almost overwhelming, but theological background is frequently unasked and unanswered. Theological background for the music and songs in the church should encourage the artistic and pious translation into Korean lyrics to use in services for the ordinary congregation.

목차

초록
1. 서론: 시편의 번역
2. 본론: 시편(Psalm)과 성시집(Psalter)
3. 맺는 말: 한국 시편 번역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원숙(Hwang Weon-suk). (2013).찬송 가사로서의 시편 번역. 신학사상, 162 , 249-277

MLA

황원숙(Hwang Weon-suk). "찬송 가사로서의 시편 번역." 신학사상, 162.(2013): 249-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