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한 기독교 평화 교육
이용수 46
- 영문명
- Christian Peace Education for Northeast Asian Community Building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김청봉(Kim, Cheong-Bong)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71집(2015년 겨울호), 248~294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01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반도 분단의 국제적 성격은 한반도 통일이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라 동북아시아 및 국제정치적 문제임을 말해준다. 이런 점에서 한반도 문제는 민족적 문제이면서 동북아시아 및 국제적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문제를 동북아시아적 맥락에서 그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북아시아 지역의 개념과 그 특징을 살펴본 뒤에,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에서의 다양한 평화개념과 추구해야 할 평화 교육을 논하고자 한다. 마지막을, 한반도의 분단 극복과 평화실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동북아시아의 공존번영을 위한 '동북아시아 평화공동체' 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기독교 평화 교육의 세 가지 과제를 살펴볼 것이다. 펏째는,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적 교육이다. 둘째는, 냉전구조에 대한 비판적 교육이다. 셋째는, 동북아시아 평화공동체를 꿈꾸는 '시회적 상상력'으로서의 교육이다. 이를 통하여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안정과 평화에 기여하는 기독교 평화 교육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find solutions on peace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changing Northeast Asian context. To do this, this paper surveys notion and characteristics of Northeast Asia, and then presents a variety of views on peace and peace education in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Finally, this paper contents to build Northeast Asian peace community which is involved with overcoming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ttaining peaceful reunification. To build Northeast Asian peace community, first of all, we have to be aware of obstacles which block up mutual co-operation,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and destroy peace in Northeast Asia. concretely, they are 'closed nationalism' and 'new cold war' which is still going on. thus, this paper offers three proposal: first is the critical education on the nationalism. second is the critical education on the new cold war. lastly, this paper proposes peace education as 'social imaginative power' which
dreams Northeast Asian peace community. Through this, this paper suggests christian peace education which contributes to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regional stabilization and peace in Northeast Asia.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동북아 시대의 등장
Ⅲ. 동북아 평화와 평화 교육
Ⅳ. 동북아와 한반도
Ⅴ. 동북아 평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