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후식류의 변화에 관한 고찰
이용수 350
- 영문명
- Literature Review on the Changes of Joseon Dynasty Desserts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김상연(Kim, Sangyeon) 안빈(Ahn, Bin)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13권 3호, 63~8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600년대 이후부터 1900년대까지의 각 시대별 조리서들에 나타난 우리나라 전통 후식류의 형태와 그변천과정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떡류는 우리나라 명절식과 의례식의 대표음식으로 쓰여 지며 만드는 방법에 따라 찐 떡, 친 떡, 경단 및 지진 떡으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었다. 다식류는 원료로 곡류, 나무열매류, 화분류, 식물뿌리, 건어물류 및 채소류와 같은 재료들이 광범위하게 동원된 후식류였으며, 정과류와 과편류도 과실류를 비롯하여 식물의 뿌리, 줄기, 열매 등 재료들이 광범위하게 활용되었으며, 특히 앵두를 재료로 한 앵두전과 앵두편이 전 시기에 걸쳐 사용되고 있었다. 유과류는 만드는 모양과 입혀진 색깔에 따라 다양하게 지칭되며 변화되었으며, 유밀과는 약과가 으뜸 역할을 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음청류는 화채류와 차류가 다양하게 발전되며 오늘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영문 초록
Desserts of Joseon Dynasty era were reviewed based on traditional culinary books and related data.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changes and progressive traces of Korean desserts as its respective periods. For these ver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desserts, we examined the methods and recipes of them. Old culinary books of Joseon Dynasty, Eumsikdimibang, Yorok, Jungbosarlimkyungze, Wonheangeulmijungrieugwe, Eumsikbangmun, Kyuhapchongseo, Choseonmussangsinsikyorijebyup and Choseonryorijebyup were reviewed. The kinds of Korean traditional desserts are rice cake, dasik, jungwa & gwapyun, yugwa, yumilgwa & suksilgwa and beverage. Rice cak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s like steamed, smashed, boiled and panfried. Steaming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of rice cake recipes.
In case of dasik, many kinds of food ingredients and pharmaceutical materials were included in the recipes: cereals, wood fruits, flower flours, plant roots and dried seafoods. Jungwa & gwapyun also used various materials: fruits as apricot and peach, roots as lotus, ginger and ginseng, sprouts as bamboo. Some kinds of yugwa, yumilgwa and suksilgwa are still consumed as desserts on Korean holidays, ancestral rites and banquets although many of them have disappeared nowadays. In addition, cold and warm beverages diversely appeared in Joseon Dynasty era.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xaminations on Solo-Diners’ Binge Eating Tendencies and Revisit Intentions
- 한식 면 요리 소비자의 외식동기 유형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에 그려진 소반에 관한 연구* -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
- SNS 정보특성과 스낵제품의 소비자태도, 온라인 구전재전달,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후식류의 변화에 관한 고찰
-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재생건축 레스토랑의 만족, 브랜드 이미지, 재방문의도와의 관계
- 와인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