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에 그려진 소반에 관한 연구* -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
이용수 215
- 영문명
- A Study on Soban in the Genre Paintings by Kim Jun-geun: Focused on Collection by the Korean Christian Museum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이효정(Lee, Hyo-Jeong) 장혜진(Chang, Hea-Jin)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13권 3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풍속화는 당시 생활상이 사실적으로 묘사된 시대적 증거로서 사회상을 읽게 해주는 기록이다. 또한 풍속화에 등장한 현실 상황과 민중 삶의 다양한 모습은 변혁기 시대의 사회 모습을 생동감 있게 검정할수 있는 귀중한 문화 사료이다. 따라서 풍속화를 통해 당시에 사용되었던 소반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으며 사용되었던 용도와 형태 파악할 수 있다. 조선 후기 풍속화가인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 중에서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그림 속의 소반을 분석하여 조선후기에 사용되었던 소반의 형태와 용도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 중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본에 그려진 16개의 소반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소반의 용도는 무속 8번, 유희 3번, 관혼상제 3번으로 무속에서 사용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무속에 사용된 경우는 대부분 제상으로 사용되었다. 천판은 사각형이 10번, 원형이 3번, 팔각형이 3번 그려졌다. 변죽이 있는 소반 그림은 7점이었고 운각이 있는 것은 14점이었다. 다리 모양은 구족반이 11번으로 가장 많았고 일자형 3번, 호족반 2번으로 나타났다. 중대가 있는 소반 그림은 없었고 족대가 있는 그림은 7점 있었다. 작가가 보고 느꼈던 생활을 묘사하였으나 주관적인 생각이나 표현력에 의해 왜곡되어 그려질 수 있고 보는 시각에 따라 분석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를 통해 조선 후기에 실제적으로 평민이 사용하였던 소반의 용도와 형태에 대해 살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genre paintings are historical and important cultural resources that allow the society to read as a periodical evidence depicting reality at that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duce the shape of the Soban that was used at the time through the pictures and to grasp the usage and the form used. In the genre paintings of Kim Jun-geun, a pain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I analyzed the Soban in the genre paintings centering on the collection of the Korean Christian Museum and studied the form and use of the Soban us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genre paintings of Kim Jun-geun from the Korean Christian Museum collection, there were 14 genre paintings and 16 Soban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s the artist described the life he had seen and felt, it could be distorted by subjective thoughts and expression, and there is a limit due to the difference in analysis depending on the viewpoint.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Kim Jun-geun’s genre paintings led to find the usage and form of the Soban which was actually used in the late Joseon period.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xaminations on Solo-Diners’ Binge Eating Tendencies and Revisit Intentions
- 한식 면 요리 소비자의 외식동기 유형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에 그려진 소반에 관한 연구* -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
- SNS 정보특성과 스낵제품의 소비자태도, 온라인 구전재전달,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후식류의 변화에 관한 고찰
-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재생건축 레스토랑의 만족, 브랜드 이미지, 재방문의도와의 관계
- 와인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