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식 면 요리 소비자의 외식동기 유형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이용수 275
- 영문명
- A Type Study on Korean Noodle Food Consumer’s Dining-out Motivation – Approach with Q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김명희(Kim, Myung-Hee) 김내홍(Kim, Nae-Hong)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13권 3호, 43~6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매년 면류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레 한식 면 요리 시장의 비중 또한 성장하였다. 그에 따라 전문점 창업도 급증하는 추세인 가운데 소비자들의 외식동기를 분석하는 것은 가치관이나 식습관을 설명 시켜주는 하나의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식 면 요리 외식소비자의 주관성에 근거하여 외식 동기를 밝히고 이를 통해 유형을 분류해보고자 실시하였다. Q방법론을 이용하여 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추출하기 위해서 피셔의 구조화 표본설계방식을 적용하여 10대에서 50대 이상까지 각 연령별로 남녀 소비자 40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의 외식동기 유형은 5개 유형으로 최종 도출 되었다. 제1유형은 ‘식도락지향형’으로 직접 만드는 것보다 더 나은 맛을 추구하기 때문에 외식하는 것을 선호한다. 맛을 중요시해서 외식하기 때문에 직접 요리하는 것을 귀찮거나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 지는 않는다. 제2유형은 ‘편리추구형’으로 편리하게 한 끼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외식을 선호한다.
직접 요리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고 인식하고 차라리 그 시간에 휴식하길 원한다. 제3유형은 ‘건강추구 형’으로 맛있으면서도 건강을 챙길 수 있는 음식을 맛보기 위해 외식한다. 메뉴판에 나오는 영양정보를 자세히 읽고 메뉴를 정해야 맘이 편하다고 느낀다. 제4유형은 ‘사교지향형’으로 사람들과 상호작용하고 사교활동하기 위해 외식을 선호한다. 이들은 맛있는 식사를 하며 사람들과 시간 보내는 것을 큰 행복으로 인식한다. 제5유형은 ‘기본추구형’으로 기본에 충실한 한식 면 요리를 추구하고, 편리한 식사 분위기의 외식을 선호한다. 한식 면 요리에서의 기본은 면의 식감이라고 생각한다. 연구 결과 나타난 각각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세운다면 향후 경쟁력 있는 한식 면 요리 전문점을 포지셔닝 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restaurant industry customers of Korean noodle cuisines based on each of their subjectivity. Structured Q sampling of Fisher was applied to get responses from various stratums; 40 people were chosen as P samples for each generation between teenagers and over 50 year olds. As a result, it drew five different types of customers’ eat out motivations. The first type includes ‘epicurism-directed’ customers who favor to eat out because they desire better tasting food than their self cooked meal. The second type includes ‘convenience-directed’ customers who favor to eat out because they can easily get a meal. The third type includes ‘health diet-directed’ customers who would like to taste healthy food which is tasty as well. The fourth type includes ‘social life-directed’ customers who like to eat out to interact with others and the fifth type includes ‘fundamental-directed’ customers who favor Korean noodle cuisine which is very loyal to fundamentals and they prefer nice and easy mood of the food table. If Korean noodle restaurants can usefully utilize the result of the research for each type of customers, it is expected that they could position their stores as more competitive.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및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xaminations on Solo-Diners’ Binge Eating Tendencies and Revisit Intentions
- 한식 면 요리 소비자의 외식동기 유형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에 그려진 소반에 관한 연구* -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
- SNS 정보특성과 스낵제품의 소비자태도, 온라인 구전재전달,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후식류의 변화에 관한 고찰
-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재생건축 레스토랑의 만족, 브랜드 이미지, 재방문의도와의 관계
- 와인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