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axation on Merger Assessment Gain - Regarding Supreme Court’s decision, 2015du41463, 2018.5.11 -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 저자명
- 김성균(Kim, Sung Kyun)
- 간행물 정보
- 『법학논문집』法學論文集 第43輯 第1號, 319~35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ecently,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cided Merger Assessment Gain(MSG) can be taxed only when a certain MSG has positive asset value(2015du41463, 2018.
5. 11.). Merging companies usually issue their new stocks to extinguished companies’ shareholders. If values of the new stock’s value were over fair market values of net assets which were transferred to a merging company from an extinguished company, that difference(the Diferrence) would happen to become gains to an extinguished company and also they would become goodwill to a merging company.
In case of 2015du41463, the Supreme Court held that goodwill did not have any asset values. Therefore, the Court decided MSG of such a goowill not to be a taxable revenue.
The abov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however, is hard to be supported, because it was based on misunderstanding of purposes of MSG taxation. The Diferrence constitutes taxable income to extinguished company, therefore, it has to be taxed when merged. However, such taxation can give adverse effects to merger promotion. Therefore, the Corporate Tax Act(CTA) rules are as follows. The Diferrence shall not be taxed to extinguished company at the time of merger. Instead, such Diferrence shall be taxed to a merging company under the name of MSG.
MSG cannot be taxed either when merged. Instead, after the merger, MSG shall be taxed over several years through depreciation or sale out of transferred asset.
Through that process, the gain of extinguished company can be taxed under the name of MSG, and taxation over several years after the merger can remove adverse effect on merger promotion This means that taxation to the MSG taxation is related with whether or not an extingushed company would have gains from merging. Therefore, regardless of asset values of goodwill or other asset transferred to merging company, MSG has to be taxed to merging company.
목차
Ⅰ. 서 론
Ⅱ. 사건의 개요 및 대법원의 판단
1. 사건의 개요
2. 대법원의 판단
Ⅲ. 합병 세제의 개요
1. 합병시의 과세대상
2. 합병평가차익
3. 영업권과 합병평가차익
Ⅳ. 대법원 판결 검토
1. 합병소득과 합병평가차익의 관계 관련 판단 오류
2. 합병평가차익 개념 해석 상의 오류
3. 영업권 및 그 상각
4. 참고: 현행법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에 관한 논의 * - 전자인(간)과 관련하여 -
- 개정 제조물책임법에 관한 소고
- 유럽사법재판소 판결을 통해 본개인정보 보호와 표현의 자유
- 합병평가차익에 대한 과세 -대법원 2018. 5. 11. 선고 2015두41463 판결을 중심으로-
- 학교 소송에 대한 교비지출의 횡령죄에 관한
- 청정화력발전을 위한 전력기술실증 지원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음악저작물에 관한 저작권침해의 판단기준
- 중국 전자소송의 발전 및 문제점
- 보충성의 원리에 대한 헌법적 고찰
- 테러단체 가입 선동의 의미에 대한 연구 - 2018고단5068 판결을 중심으로 -
- 영국의 「경찰과 형사증거법」상 유치관리관 제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