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OICA 석사학위연수과정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경험
이용수 354
- 영문명
- KOICA Scholarship Program participants’ experiences studying in Korea: In-betweenness of public and private domai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재은(Jon Jae-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8호, 1131~11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KOICA 석사학위연수사업에 참여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경험을 질적 연구를 통해 탐구하였다. 특히 KOICA 석사학위과정의 연수생은 개도국 공무원 신분으로서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다국가 출신의 정부 초청 외국인 유학생이라는 점
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위해 A대학 국제대학원의 KOICA 석사학위 연수과정인 경제 정책 역량 강화 과정 참여 연수생 17명을 대상으로 2016년 7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심층면접 중심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KOICA 연수생의 한국 유학 경험은 유학 동기부터 졸업 후 계획까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으로 대비되는 주제가 공존하는 사이성의 특징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연수생의 해외유학 동기 및 한국 KOICA 선택은 공적 신분과 사적 동기의 특징을
보이고, 한국 사회에서 KOICA 연수생으로 특별 대우를 받지만 외국인 유학생으로서 차별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또 대학원 교육 경험에 대해 학문적으로 만족하지만 실천적 교육과정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하였고, 한국에 대한 이해도 선진국 이미지와
불행한 개인이라는 양면성을 보여주었다. 졸업 후 계획도 공무원으로서 사명감을 나타내는 반면, 개인적 진로 포부 실현을 고려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KOICA 연수생의 세계시민성을 논의하고 석사학위연수사업에 대한 시사점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the KOICA Scholarship Program for Master’s degree, using qualitative methodology. This group of KOICA students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they are government-sponsored intranational students from multiple countries, studying for graduate education as
government officials in developing countries. Data were collected from 17 students in the Economic Policy and Capacity Development program at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 University, using qualitative methods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According results in this study, KOICA student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in-betweeness where contrasted themes from public domain and private domain coexist in their motivation to study abroad to their plan after graduation. In detail, their motivation to study abroad and reasons for choosing Korea/KOICA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government official status and private motivation. In the Korean
society, they receive special treatment as KOICA students, but also experienced discrimination as international students. For their graduate education, they expressed academic satisfaction but disappointment in practical education. In addition, their understanding of Korea showed the ambilaterality of an image as a developed country
and unhappy individuals. For their plan after graduation, they showed the sense of duty as government officials, while they also considered the realization of private career aspir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mong KOICA students, and provided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for the KOICA Scholarship Program for Master’s degre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공적-사적 영역과의 사이성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achine Translators for University Freshmen in Translating Korean Writing into English
-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권위 부여하기
- 지방대 여학생의 기업의 종류에 따른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대학생이 지각한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원생의 학위논문작성 어려움에 대한 경험
- 전문대학 교직이수자를 위한 교직인·적성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자유학기제 과학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
- 초등교사의 성장 마인드셋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매개효과
- 맨발걷기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뇌파 및 두뇌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 논설문에서 중·고등학생의 내용어·기능어 사용 양상 연구
- 학교 내 ‘실천가이자 연구자로서의 교사’ 프로젝트 사례 연구
- 북매핑(Bookmapping)을 활용한 초등 세계 지리 학습의 지리 교육적 의의
-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강점에 대한 의미탐색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련된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학습 유형과 효능감과의 관련성
- 간호대학생의 공감지수와 회복탄력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는 기혼여성의 학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를 통한 초등 사회과 인구교육 방향 탐색
- 학습자중심 사회수업의 의미 이해를 위한 질적 사례 연구
- KOICA 석사학위연수과정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경험
- 유아교사와 부모의 우리성 인식 구조의 특징 연구
- 교원의 교수역량 및 프로그램 요구 분석을 통한 교수역량강화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도출
- G-내성 함양을 위한 공군사관학교 항공체력육성 관련 교과 개선방향 탐색
- 다문화 가정 부모의 진로관련행동에 따른 잠재집단 탐색 및 잠재집단별 자녀의 진로, 심리, 학업 특성 차이 검증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교직원 리더십 역량개발기관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방안 탐색
- 학습성과체계도를 이용한 의과대학 교육과정개발 사례연구
- The First Greeting Speech Act between Korean and Indian
- 구어 담화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평가양태성 보조사의 사용 양상
- 儒家 리더십사상과 T. J. Sergiovanni 도덕적 리더십론의 상응성
- 플립러닝을 활용한 학습자중심수업 실현
- TIMSS 2019 평가에서 eTIMSS 평가와 문항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 청소년 여가활동, 여가만족, 또래애착,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
-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에서 Co-op Jigsaw 협동학습이 메타인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수학 기반의 융합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초등영재학생의 수학적 사고와 태도 분석
- 과정중심평가 수행 방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한 초등교사 이미지 연구
- 탈북 청소년 연구의 20년 동향분석
- DACUM 기법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 지도교사의 직무 분석
- 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대학생의 신직업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유튜브(YouTube)의 한국어교육 채널 분석
- 거꾸로 수업을 활용한 프로젝트형 탐구실험의 교수-학습 전략 탐색
- 플립러닝 온·오프라인 환경에 따른 실재감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유아기 문제행동의 발달과정 탐색 연구
- PBL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유능성,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과목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 중학교 교사의 전문성개발 활동과 학습자중심수업의 관계 분석 연구
- 피드백이 영어작문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교준비도가 취학 이후 학교적응과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유사 문법 연구 동향 분석
- 디자인씽킹 교육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한 분석
-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in Sport Pedagogy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 임상실습교육환경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성역할 태도, 관계중독, 폭력허용도 및 데이트폭력 피해 간의 관계
-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자아탄력성 및 조직공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