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대학 교직이수자를 위한 교직인·적성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231
-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ptitude Testing tool for Students of Teaching Professional Process in Colleg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민(Kim Jeong Min) 김복미(Kim Bok 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8호, 1065~10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원양성과정에서 활용하고 있는 교직인·적성 검사지 표준안을 기반으로 전문대학 교직이수자를 위한 교직인·적성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전문대학 교직이수자 601
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문헌연구와 전문가의 내용타당도로 문항을 구성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타당도 분석을 통해 최종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문항 210개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전문가의 내용타당도를 고려하여 1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150개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 조사 결과는 전체 신뢰도 Cronbach α .981로 나타났고, 구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실시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NFI .901, TLI . 940, CFI .940, RMSEA .048로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 도구는 전문대학 교직이수자의 교직인·적성 상태를 알아보고, 교육과 상담을 구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rationalize teaching aptitude testing tool for student of training professional process in colleges based on the standard proposal of the teaching aptitude testing paper used in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601 students of training professional process in college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8. And we set up the questions on the document analysis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xperts, and then final items were constructed through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In the preliminary examination,
150 items, consisting of 14 sub-factor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content validity of experts, based on the analysis of 210 search factors. The results of the main survey showed that the overall reliability was Cronbach α .981. And in the verification factor analysis conducted for the construct validity analysis was shown as NFI .901, TLI .940, CFI .940, RMSEA .048, it was found to be a suitable model. The inspection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identifying the status of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of teacher training process in colleges and in providing basic data that enables specific access to education and counsel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과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achine Translators for University Freshmen in Translating Korean Writing into English
-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권위 부여하기
- 지방대 여학생의 기업의 종류에 따른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대학생이 지각한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원생의 학위논문작성 어려움에 대한 경험
- 전문대학 교직이수자를 위한 교직인·적성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자유학기제 과학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
- 초등교사의 성장 마인드셋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매개효과
- 맨발걷기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뇌파 및 두뇌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 논설문에서 중·고등학생의 내용어·기능어 사용 양상 연구
- 학교 내 ‘실천가이자 연구자로서의 교사’ 프로젝트 사례 연구
- 북매핑(Bookmapping)을 활용한 초등 세계 지리 학습의 지리 교육적 의의
-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강점에 대한 의미탐색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련된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학습 유형과 효능감과의 관련성
- 간호대학생의 공감지수와 회복탄력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는 기혼여성의 학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를 통한 초등 사회과 인구교육 방향 탐색
- 학습자중심 사회수업의 의미 이해를 위한 질적 사례 연구
- KOICA 석사학위연수과정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경험
- 유아교사와 부모의 우리성 인식 구조의 특징 연구
- 교원의 교수역량 및 프로그램 요구 분석을 통한 교수역량강화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도출
- G-내성 함양을 위한 공군사관학교 항공체력육성 관련 교과 개선방향 탐색
- 다문화 가정 부모의 진로관련행동에 따른 잠재집단 탐색 및 잠재집단별 자녀의 진로, 심리, 학업 특성 차이 검증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교직원 리더십 역량개발기관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방안 탐색
- 학습성과체계도를 이용한 의과대학 교육과정개발 사례연구
- The First Greeting Speech Act between Korean and Indian
- 구어 담화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평가양태성 보조사의 사용 양상
- 儒家 리더십사상과 T. J. Sergiovanni 도덕적 리더십론의 상응성
- 플립러닝을 활용한 학습자중심수업 실현
- TIMSS 2019 평가에서 eTIMSS 평가와 문항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 청소년 여가활동, 여가만족, 또래애착,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
-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에서 Co-op Jigsaw 협동학습이 메타인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수학 기반의 융합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초등영재학생의 수학적 사고와 태도 분석
- 과정중심평가 수행 방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한 초등교사 이미지 연구
- 탈북 청소년 연구의 20년 동향분석
- DACUM 기법을 활용한 메이커 교육 지도교사의 직무 분석
- 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대학생의 신직업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유튜브(YouTube)의 한국어교육 채널 분석
- 거꾸로 수업을 활용한 프로젝트형 탐구실험의 교수-학습 전략 탐색
- 플립러닝 온·오프라인 환경에 따른 실재감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유아기 문제행동의 발달과정 탐색 연구
- PBL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유능성,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과목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 중학교 교사의 전문성개발 활동과 학습자중심수업의 관계 분석 연구
- 피드백이 영어작문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교준비도가 취학 이후 학교적응과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유사 문법 연구 동향 분석
- 디자인씽킹 교육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한 분석
-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in Sport Pedagogy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 임상실습교육환경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성역할 태도, 관계중독, 폭력허용도 및 데이트폭력 피해 간의 관계
-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자아탄력성 및 조직공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