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교과 내 통합교육을 위한 플라워 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분석
이용수 46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nalysis of Floral Design Education Program as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Integrated Education
- 발행기관
- 인간식물환경학회
- 저자명
- 곽혜란(Hyeran Kwack) 여현경(HyunKyung Yeo) (EuJean Jang)
- 간행물 정보
- 『인간식물환경학회지(JPPE)』제18권 제5호, 447~45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of flower arrangement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after-school and aims to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through a questionnaire. For the study, analyzes of flower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through a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at about gardening activitie’s impact on children. In addition, analyzes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extracts the flower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to develop the flower arrangement program. Developed programs are proven by conducting surveys for theirs fitness as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 and children’s anticipated preference for 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0 lecturer who directly teach the after-school classe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lower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of design and flower arrangement theory was connected with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 by analyzing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at can be connected flower design, develop flower design after-school programs in 15 periods. Programs are five associated with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five about color that most associated with elementary curriculum and five about trends and lifestyle associated with flowers. Developed programs are limited to the possible level that applies to the elementary after-school classes about cost, time, and technology. Third, the programs are proven by teachers and after-school classes lecturer. According to survey results, the art is the most relevant to flower design and developed 15 programs were proven their suitability to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주택 정원의 지피식물식재를 위한 수목의 일사차폐 특성
- 저관리 벽면녹화에서 피복재와 친수성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화목류의 적응성
- Papaver rhoeas L. 종자의 온도 수준에 따른 발아기 예측 함수식 개발
- 장성 치유의 숲에서 경관감상이 인체의 생리적,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효과
- 저관리형 옥상녹화시스템을 위한 세덤류(Sedums)의 내서성 평가
-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 정원의 비교분석
- 치유의 숲에 적합한 간벌형식과 방법
- 얼레지의 아미노산 함량과 생리활성 효과
- 그린인테리어의 색상 및 형태에 대한 선호도 및 감성 이미지
- 관수주기에 따른 실내 관엽식물의 생장 반응
- 원예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 정원의 도상학 및 현대 미학적 해석
- 초등 교과 내 통합교육을 위한 플라워 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분석
- 최고기온시 학교 옥외공간 녹지특성에 따른 열쾌적 지표(UTCI, PMV, WBGT) 비교 분석
- 서울시 강남구지역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의 감성이미지 연구
- 훼손된 산지의 복원과 이용을 위한 시민의식 분석
- 실내공기 바이오필터용 첨가배지의 포름알데히드 정화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BEST
- 낙상사고를 경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 기반 미술치료 사례연구
- 심리적 데이트폭력 피해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NEW
- 영유아교육실천연구 제3권 제1호 목차
-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 STEAM 놀이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 적용 연구
-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과 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교사의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