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xing Effects of Viewing the Scenery in the Jangseong Healing Forest
- 발행기관
- 인간식물환경학회
- 저자명
- 정다워(Dawou Joung) 염동걸(Dong geol Yeom) 김건우(Geonwoo Kim) 박범진(Bum Jin Park)
- 간행물 정보
- 『인간식물환경학회지(JPPE)』제18권 제5호, 429~43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s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xing effects of viewing the scenery in the Jangseong healing forest. Twenty-two university students (20.9 ± 1.3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Jangseong healing forest, and a control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e city. The physiological indicators used in the study were the heart rate variability and heart rate of the participants. Subjective assessments (SD method, POMS, and STAI) were used as psychological indicators. The participants sat on a chair watching the scenery in the forest area and the urban area for 10 minutes each. The results indicate that viewing the scenery in the forest can increas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as compared with that in the city. In addition, the forest environment can enhance “comfortable,” “natural,” and “soothed” feelings; alleviate negative emotions; and reduce anxiety. Th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viewing the scenery in the Jangseong healing forest induced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xa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예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교과 내 통합교육을 위한 플라워 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분석
- 실내공기 바이오필터용 첨가배지의 포름알데히드 정화특성
- 공동주택 정원의 지피식물식재를 위한 수목의 일사차폐 특성
- 관수주기에 따른 실내 관엽식물의 생장 반응
-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 정원의 비교분석
- 장성 치유의 숲에서 경관감상이 인체의 생리적,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효과
-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 정원의 도상학 및 현대 미학적 해석
- 서울시 강남구지역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의 감성이미지 연구
- 훼손된 산지의 복원과 이용을 위한 시민의식 분석
- 그린인테리어의 색상 및 형태에 대한 선호도 및 감성 이미지
- Papaver rhoeas L. 종자의 온도 수준에 따른 발아기 예측 함수식 개발
- 최고기온시 학교 옥외공간 녹지특성에 따른 열쾌적 지표(UTCI, PMV, WBGT) 비교 분석
- 저관리 벽면녹화에서 피복재와 친수성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화목류의 적응성
- 치유의 숲에 적합한 간벌형식과 방법
- 저관리형 옥상녹화시스템을 위한 세덤류(Sedums)의 내서성 평가
- 얼레지의 아미노산 함량과 생리활성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BEST
- 우리나라 국가위기경보체계의 개선방향
- 식물 유전체 편집을 위한 CRISPR/Cas9의 적용
- 낙상사고를 경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 기반 미술치료 사례연구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NEW
- 인간식물환경학회지(JPPE) 제28권 제4호 목차
- Building Damage Potential Assessment Based on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in Major South Korean Cities
- Effects of ACT-Based Agro-Healing Programs on Subjective Emotions: A Cross-Age Group Comparis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