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과 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교사의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Effect of Teacher-Early Childhood Interaction and Institutional Creative Capacity on Play-based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저자명
정재은(Jaeeun Jung) 우인해(Inhae Woo) 이연미(Yeonmi Lee)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실천연구』제3권 제1호, 31~5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영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교사의 놀이전문성 간의 관계를 밝히고 영유아 교사의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K도 북부에 소재한 영유아 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영유아 교사의 놀이전문성 척도’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척도’,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척도’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을 통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 교사의 놀이전문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기관의 창의적 역량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놀이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기관의 창의적 역량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사의 놀이전문성을 생태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영유아 교사의 놀이전문성에 대한 이해와 영유아 교사의 놀이전문성 향상을 지원하는 교사교육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early childhood interaction, institutional creative competency, and play-based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 total of 214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northern K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 instruments: the Play-based Professionalism Scale,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Scale, and the Institutional Creative Competency Scale.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play-based professional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institutional creative competency. Among the predictors, teacher–child interaction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play-based professionalism, followed by institutional creative competency. Specifically, the emotional dimension of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llowed by autonomy and leadership within institutional creative competency, and the linguistic asp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es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nhanc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based professionalism through targeted teacher educ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재은(Jaeeun Jung),우인해(Inhae Woo),이연미(Yeonmi Lee). (2025).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과 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교사의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실천연구, 3 (1), 31-54

MLA

정재은(Jaeeun Jung),우인해(Inhae Woo),이연미(Yeonmi Lee).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과 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교사의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실천연구, 3.1(2025): 3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