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린인테리어의 색상 및 형태에 대한 선호도 및 감성 이미지
이용수 102
- 영문명
- Preference and Image Perception for Color and Shape in Green Interior
- 발행기관
- 인간식물환경학회
- 저자명
- 장혜숙(Hye Sook Jang) 유은하(Eunha Yoo) 김광진(Kwang Jin Kim) 정현환(Hyun Hwan Jung)
- 간행물 정보
- 『인간식물환경학회지(JPPE)』제18권 제5호, 413~42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naire of 279 participants which counted 26 cases out of total 305 participants. It is organiz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indoor-plants for green interior of psychological effect, general awareness and the color or shape of indoor-plants in dining/living area to the preference of consumers and emotional image. 74.6% of participants had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the indoor-plants for green interior. As the result of general awareness of green interior,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the green interior was organized was the shape of plants and the most selected possible amount of investment to the installation was less than 100,000 won which is not high enough.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participant’s awareness of effect of indoor-plant, 99.3% of participants which was the highest portion answered ‘Indoor-plants improv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from the selection of five kinds of indoor-plant’s effects. More than 50% of participants showed high interests to the green interior in dining/living area as they selected ‘Preferred’. Decoration of cut-flower and eruption are preferred as the design of dining area. The preference order of 5 types of colors for green interior was white> green> pink> yellow> red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n color sensitivity of green-interior area with Standard Deviation method, white and green stimulus group highly shows the emotion of “Clam” and “Comfortable”. In addition, red and pink stimulus group feels hard the emotion, “Fancy”. Cut flower decoration was highly preferred when living area is decorated with 76.6%.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apes of green interior in living area with the order of horizontal> round>vertic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on emotional difference with green interior of living area with Standard Deviation, horizontal way has “Calm”, “Comfortable” while vertical provides “Heavy” and “Strong”. This study tries to provide the useful and positive possibility of design direction and improvement of consumption of indoor green-interior by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effect and awareness of indoor-pla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주택 정원의 지피식물식재를 위한 수목의 일사차폐 특성
- 그린인테리어의 색상 및 형태에 대한 선호도 및 감성 이미지
- 관수주기에 따른 실내 관엽식물의 생장 반응
- 원예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 정원의 도상학 및 현대 미학적 해석
- 저관리 벽면녹화에서 피복재와 친수성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화목류의 적응성
- 장성 치유의 숲에서 경관감상이 인체의 생리적,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효과
- Papaver rhoeas L. 종자의 온도 수준에 따른 발아기 예측 함수식 개발
- 초등 교과 내 통합교육을 위한 플라워 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분석
- 최고기온시 학교 옥외공간 녹지특성에 따른 열쾌적 지표(UTCI, PMV, WBGT) 비교 분석
- 치유의 숲에 적합한 간벌형식과 방법
- 소쇄원과 빌라 데스테 정원의 비교분석
- 저관리형 옥상녹화시스템을 위한 세덤류(Sedums)의 내서성 평가
- 얼레지의 아미노산 함량과 생리활성 효과
- 서울시 강남구지역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의 감성이미지 연구
- 훼손된 산지의 복원과 이용을 위한 시민의식 분석
- 실내공기 바이오필터용 첨가배지의 포름알데히드 정화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NEW
- CONTINUITY OF INTERTWINING LINEAR OPERATORS WITH SHIFT OPERATORS ON Lp(R)
- SPECTRUM OF LINE ARRANGEMENTS WITH MULTIPLICITIES: A COMBINATORIAL APPROACH VIA LATTICE POINT ENUMERATION
- ENERGY DECAY OF SOLUTIONS FOR THE VISCOELASTIC NONLINEAR EQUATION WITH A INTERNAL TIME-VARYING DELAY TERM AND BOUNDARIES RELATING THE KIRCHHOFF TYPE COEFFICI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