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촌 노인의 성과 거주유형에 따른 신체·정신·사회적 건강 상호관계
이용수 44
- 영문명
-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The Korean Rural Elderly : With a Focus on Gender and Family Type Difference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정화(Jeong Hwa Lee) 이보람(Bo Ram Lee)
- 간행물 정보
- 『生活科學硏究』生活科學硏究 第26輯, 149~16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rural elderly assess their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and to explore their relations among three dimensions of health.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gender and family type differences. For the purpose, survey data was gathered from 320 rural elderly from July to August 2014. Physical health was measured by ADL, IADL and the subject health. Mental health was measured by depression and happiness. Social health was measured by size of social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correla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emale respondents perceived their physical health more negatively than male respondents. Mental health was perceived somewhat positively in general but who is ‘living alone’ recognized their mental health more negatively than who is ‘living with family members’. Social health of the rural elderly was relatively more positive in comparison to the other dimensions of health. The correlations among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were partial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화 활용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효과
- 가족의 변화와 가족생활교육의 대응
- 농촌 노인의 성과 거주유형에 따른 신체·정신·사회적 건강 상호관계
- 한·중 여대생의 체면민감성, 허영심 및 과시적 소비성향이 패션명품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광주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 스키장 서비스품질, 고객만족도, 고객충성도의 영향관계
- 대사증후군과 비알코올성 지방간군 관련성 : 교대근무와 식이 중심으
- 논어에 언급된 공자(춘추)시대의 음식문화
- 전남지역 초등학생의 수산물 기호도에 대한 연구
- 1인 가구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 백화점 패션제품 판매원의 지각된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