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녀에 대한 부모역할의 인식유형 연구: Q 방법론 적용
이용수 118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cognition Type of Parent Role: Q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진정아(Jin, jung ah) 이원희(Lee, won hee)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155~1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들이 부모 역할에 대해 공통적인 특징과 다양성을 찾고 그것을 유형화하여 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Q방법을 사용하였고, Q-표본은 부모인식과 관련된 진술문 56개 중 중복되거나 의미가 비슷한 내용을 제외한 후 최종 33개를 선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P-표본의 대상은 아동학을 공부하고 있는 결혼한 교사와 자녀 양육에 관심이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0월까지 18명이 참여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관련 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자녀에 대한 부모역할의 인식 유형은 사랑과 존중이 중심인 부모형(유형1)과 정서와 환경이 중심인 부모형(유형2), 정서와 독립성이 중심인 부모형(유형3), 훈육과 가르침이 중심인 부모형(유형4) 로 나누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부모역할 이라는 주관적 인식을 과학적 방법으로 유형화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이해함으로써,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자신의 부모역할 수행을 점검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자녀에 대한 부모역할에 영향을 주어 자녀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유도할 뿐 아니라 부모역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parents on their parental roles and to classify those perceptions to better understand them.
The study Q method was used to classify the parents’ subjective perceptions on the parental roles. 33 samples were selected as Q sample through statements relating to parents’ percep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rents who are studying children education or who are currently teaching children. They were interview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8.
QUANL program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rough analyzing the subjects’ perceptions on the parental roles, 4 types of parents were identified: parents who care about love and respect in parenting (type 1); parents who care about emotion and environment (type 2); parents who care about emotion and independence (type 3); parents who care about discipline and lesson (type 4).
This study was able to use scientific methods to conceptualize the diverse and subjective perceptions of parents on parental roles in child-rearing. The classifications suggest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guidelines for parents to examine and evaluate their child-rearing methods, and possibly influence the parents to improve their parenting skills.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be capable of serving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for parental rol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양체육 참여 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의 리더십행동유형, 수업만족, 지속적 참여의 구조관계
- 홀리스틱 교육의‘두 관점’으로 본캐나다‘ADHD 교육과정’의 교훈
- 학교조직의 학습지향성, 교사의 비판적 성찰행동 및 혁신행동과의 인과관계
- 프뢰벨의 낭만주의적 유아기 인간교육에 대한 고찰
- 마음그램을 기반으로 한 중학생 자기조절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자녀에 대한 부모역할의 인식유형 연구: Q 방법론 적용
- 할리우드 영화 속에 재현된 과학교사의 이미지
- 교사 전문성 개발 특성이 영어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영재학생의 창의적 성격, 학업흥미, 부모양육태도가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영향
- 홀리스틱 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무용 분야 전문인력의 전문성 영역 및 직무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