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조직의 학습지향성, 교사의 비판적 성찰행동 및 혁신행동과의 인과관계
이용수 92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Orientation of School Organization, Teachers’ Critical Reflective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여동춘(Yeo, Dong-Chun) 김희규(Kim ,Hee-Kyu)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59~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조직의 학습지향성과 교사의 비판적 성찰행동, 교사 혁신행동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그 관계에서 교사의 비판적 성찰행동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울산 및 부산시내 초・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총 690부의 설문 응답내용을 최종 분석대 상으로 선정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조직의 학습지향성, 교사의 비판적 성찰행동, 교사 혁신행동은 교사변인(성별, 교직경력, 보직여부, 학력) 및 학교변인(학교급, 학교규모, 설립유형) 분석결과, 보직여부에 따른 변인과 설립유 형에 따른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조직의 학습지향성은 교사의 비판적 성찰 행동, 교사 혁신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조직의 학습지향성은 교사 혁신행동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며, 넷째, 학교조직의 학습지향성과 교사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교사의 비판적 성찰행동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학교조직은 교사의 자율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교조직 내 학습공동체를 활성화시키고 교사의 비판적 성찰행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사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설계나 제도적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 공동체에서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토론하는 전인적 차원의 통합성을 고려한 홀리스틱 교육의 마인드 제고가 요구되어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orientation of school organization, teachers’ critical reflective behavior, and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ritical reflective behavior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of school organization and teachers’innovative behavior.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online survey method was appli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Ulsan and Pusan. A total of 690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First, relating to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type, the teachers of public school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arning orientation and critical reflective behavior than the private school teachers. Also, relating to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assignment to a position of the teachers, the head teachers of the school were found to have higher learning orientation and critical reflective behavior than the general teachers. Second, learning orientation of school organiza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s’ critical reflective behavior and the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learning orientation of school organiza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s’ critical reflective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of school organization and the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t is necessary for school organization to systematically and culturally endeavor to promote learning to teachers as a key factor in securing competi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To achieve this, cultural support should be implemented, such as activating the teachers learning and activating the learning community in the autonomous school organ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양체육 참여 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의 리더십행동유형, 수업만족, 지속적 참여의 구조관계
- 홀리스틱 교육의‘두 관점’으로 본캐나다‘ADHD 교육과정’의 교훈
- 학교조직의 학습지향성, 교사의 비판적 성찰행동 및 혁신행동과의 인과관계
- 프뢰벨의 낭만주의적 유아기 인간교육에 대한 고찰
- 마음그램을 기반으로 한 중학생 자기조절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자녀에 대한 부모역할의 인식유형 연구: Q 방법론 적용
- 할리우드 영화 속에 재현된 과학교사의 이미지
- 교사 전문성 개발 특성이 영어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영재학생의 창의적 성격, 학업흥미, 부모양육태도가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영향
- 홀리스틱 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무용 분야 전문인력의 전문성 영역 및 직무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